王妃, 國舅錄  cybernation_back.gif

王妃名

王朝

王名(재위년)

國舅名

위숙왕후(威肅王后)

고려

태조(918-943)

선계부전(先系不傳)

용신왕후(容信王后)

고려

정종(1035-1046)

증문하시중 조(贈門下侍中 祚)

용의왕후(容懿王后)

고려

정종(1035-1046)

증문하시중 조(贈門下侍中 祚)

순정왕후(順靜王后)

고려

공민왕(1351-1374)

선계부전(先系不傳) 

신의왕후(神毅王后)

조선

태조(1392-1398)

안천부원군 경(安川府院君  卿)

려비(麗妃)

명(중국)

성조 영락제(1402-1424)

서성부원군 영정(西成府院君 永矴)

공신부인(恭愼夫人)

명(중국)

선종 선덕제(1425-1435)

서성부원군 영정(西成府院君 永矴)

소혜왕후(昭惠王后)

조선

추존왕 덕종

서원부원군 확(西原府院君 確)

장순왕후(章順王后)

조선

예종(1468-1469)

상당부원군 명회(上黨府院君 明澮)

안순왕후(安順王后)

조선

예종(1468-1469)

청천부원군 백륜(淸川府院君 伯倫)

공혜왕후(恭惠王后)

조선

성종(1469-1494)

상당부원군 명회(上黨府院君 明澮)

인열왕후(仁烈王后)

조선

인조(1623-1649)

서평부원군 준겸(西平府院君 浚謙)

 

위숙왕후(威肅王后) top

高麗太祖 왕건(877~944)의 母后로서 그 선계는 전하는 사항이 없으며, 고려 태조 와 같은시대 인물인 시조 태위공과의 관계도 전하는 기록이 없다.

위숙왕후(威肅王后)
생몰년 미상. 고려 태조 왕건의 어머니.
919년(태조 2) 태조가 아버지 왕륭(王隆, 원명 龍建)을 세조위무대왕(世祖威武大王)이라 하고, 어머니는 위숙왕후라 추존하였다. 성이 한씨(韓氏)라는 것 외에는 알 수 없다.
김관의(金寬毅)의 《편년통록 編年通錄》에 의하면 왕륭이 일찍이 꿈에 한 미인을 만나 부인을 삼기로 언약하였다. 뒤에 송악(松嶽)으로부터 영안성(永安城)으로 가다가 길에서 한 여인을 만나 드디어 혼인하였다.
어디에서 왔는지를 몰라 세상에서는 몽부인(夢夫人)이라 부르고, 혹은 그 부인이 삼한(三韓)의 어머니라 하여서 그 성을 한씨라 하였다고도 한다.
민지(閔漬)의 《편년강목 編年綱目》에서는 현종 18년에 혜사(惠思), 고종 40년에 인평(仁平)으로 시호를 더하였다고 한다.


출처 http://www.koreandb.net/

5世 容信王后(용신왕후)  top

고려 정종대왕비 ?~1036(靖宗2年丙子7月) 용신왕후는 고려 정종(제10대왕=재위1035-1047)의 왕후로써 문하시중 祚(조)의 따님이시며,고려 목종의 사당에 배향되신 문하시중 언공의 손녀이다.다음의 유사는 고려사열전 靖宗(정종) 容惠大王妃(용혜대왕비) 容信王后(용신왕후) 淸州韓氏(청주한씨) 遺事(유사)에 나오는 내용이다. 容信王后 韓氏(용신왕후 한씨)는 湍州(단주; 지금의 淸州)인이니, 贈門下侍中 祚(증문하시중 조)의 딸이다.靖宗(정종)이 처음 平壤君(평양군)이 되어 맞이하여 妃(비)를 삼고 卽位(즉위)함에   號(호)를 延興宮主(연흥궁주)라 하였다.靖宗元年乙 亥(1035년)에 왕후가 아들을 낳으니 이름을 (형)이라 賜하고 惠妃(혜비)로 冊封(책봉)하였다. 후에 定信王妃(정신왕후)로 봉하였는데 정종2년丙子7月(1036)에 薨(별세)하시매 8월에 玄陵(현릉)에 禮葬(예장)하였다. 文宗2년戊子(1048) 3월에 容信王后(용신왕후)라 追諡(추시)하고 文宗10년丙申(1056)10월에 定懿(정의)를 加하였으며,仁宗18년庚申(1140) 4월에 明達(명달)을 加하고 高宗 40년癸丑(1253) 10월에 禧穆(희목)을 加하였다.

 

5世 容懿王后(용의왕후)

정종대왕(재위1035-1047) 비 용의왕후는 용신왕후의 동생으로 고려 정종의 계비이다.언니인 용신왕후가 일찍 졸하니 정종은 고인을 그리워하여그 동생을 다시 왕후로 맞았다고 한다. 다음은 고려사열전에 나오는 용의왕후의 내용이다.容懿王后(용의왕후) 韓氏도 역시 贈門下侍中 祚의 딸로 靖宗4년(1038)4월에 麗妃로 冊封하고 號를  昌盛宮主라 하였는데 후에  玄德宮州로 고치고  靖宗 6년(1040) 2월에  王后로 冊封하였다. 애상군(哀君) 방(昉), 낙랑후(樂浪侯) 경(璥), 개성후(開城侯) 개(暟) 삼형제를 낳았다.

 

 

순정왕후(順靜王后)  top


順靜王后 哀冊文

순정왕후 애책문

익비(益妃)

왕의 출생기록

?~1376. 고려 공민왕비 순정왕후(順靜王后)의 선계는 전하는 기록이 없다. 다만 애책문(哀冊文:임금이나 왕비의 죽음을 슬퍼하여 지은 祭文)이 있을뿐이어서 이에 전재한다

恭愍王妃 順靜王后 哀冊文

維洪武九年丙辰秋閏九月朔壬午二十一日壬寅順靜王后梓宮啓自權찬(歹贊)遷坐于殯越五日丙午葬于國之西陵禮也祖庭旣徹綃幕將移龍轜蜷局翟茀萎遲酸風動兮銘旌婀娜寒霧霏兮舟旐芸蕤孝子嗣王號天永慕履露增欷痛範儀之己閟懷慈訓之早違慼形于色情見乎辭爰命法從式叙孝思其訶曰粤唐聖胤荒我大東蔚五百祀德洽仁豊王化攸始肇自中宮溥彼沔土氣欝精鍾有美景族曰韓某宗積善累世慶發無窮是生碩媛道侔有娥芳猷淑愼玉度淵冲儷奠楓禁秘儀椒風履武載震彌月不遲虹流表瑞天日挺資徵蘭果信簪奈○悲堯門閴爾姒幄凄其鳴呼哀哉惟先敬孝巍乎垂衣前星久晦後掖韜輝憂凝黈纊慮及宗祊天作之合曰賓于京祥膺震索位御離明維功之盛維德之光生養不逮愼終以誠名增顯諡禮率彝章追崇旣極孝慕彌深褘褕如此衍珮淪音鳴呼哀哉藹仙丈兮雲移哀楚挽兮曉咽儼慼見於宸容兮紛感集於具列雲冥冥兮天爲愁路漫漫兮地無垠悼風樹之不止兮何窆穸之莫晨鳴呼哀哉物조彩兮凛秋蘭謝芳兮墜露覽草木而傷感兮跼穹壤而戀慕插予心其若旌兮洒余泪其如雨出都門而夷猶兮望山原而嘆息風吹野而悲聲日出霧而慘色思無極涯恨可轉石鳴呼哀哉佳城夭設吉兆坤寧山扶擁而繚繞水瀉出淸冷乃安乃宅惟靈樂康祚我嗣聖萬壽無疆本支百世福祿攸慶謂予不信敢矢此章鳴呼哀哉

 

공민왕비 순정왕후 애책문(恭愍王妃 順靜王后 哀冊文)cybernation_back.gif top

우왕2년(1376 洪武9年 丙辰) 윤(閏) 9월 21일에 순정왕후(順靜王后)의 재궁(梓宮)을 가매장한 곳에서 빈소 (殯所)로 옮겼다가 그 뒤 5일에 개경의 서릉(西陵)에 장사를 모시니 이는 예(禮)이다. 발인제를 마치고 비단 장막이 장차 옮기려 하니 상여는 주저하고 작불(翟茀=수레에 꿩털로 꽂은 장식)은 머뭇 거린다. 신선한 바람 스침이여. 명정은 흐늘흐늘하고 찬 안개 부슬거림이여. 붉은 깃발이 너울거린다. 효자 사왕(嗣王)이 하늘에 울부짖어 길이 사모하고 가을이 됨에 더욱 슬퍼합니다. 형용이 이미 감춰짐을 애통하고 자훈(慈訓)의 일찍 여윔을 생각하니 슬픔은 얼굴에 드러나고, 정(情)은 말씀에 나타납니다. 이에 종신(從臣)들에게 명령하여 효성 스러운 생각을 서술하게 하니 그 글월에 다음과 같이 이르노라. 당(唐)나라의 성스러운 후손이 우리 대동(大東)을 개척하셔서 장할시고 5백년의 덕은 흐뭇하고 인(仁)은 두터웠습니다. 왕화의 비롯함은 중궁(中宮)으로부터 였습니다. 넓은 저 면(沔)의 땅은 정기가 서려 모였습니다. 아름다운 대족(大族)이 있으니 그 집안을 한씨(韓氏)라 이릅니다. 적선하기 여러 대에, 경사가 피어남이 무궁하였습니다. 이에 훌륭한 따님을 낳으시니 도가 유융(娀=은의시조 설의 母)과 같았습니다. 꽃다운 행실은 어질고 삼가며 옥의 자질은 깊고 깊었습니다. 지존을 풍금(楓禁=왕의 거처)에서 짝하시와 깊이 초방(椒房)에 드렸습니다. 발자국을 밟아 임신하시니 아들 낳기가 더디지 아니하였습니다. 무지개 흘러 상서를 표시하자 천일(天日)의 자질이었습니다. 란(蘭)의 몽조가 과연 미더웠건만 어쩌자고 슬픔이 얽혔던고, 효모문(堯母門)이 적막하고 태사(太)의 장막이 처량하였습니다. 아! 슬프다. 생각하건데 선경효(先敬孝) 왕께옵서 거룩하신 수의(垂衣)의 정치를 하였사온데 전성(前星=태자의 별)은 오래 어둡고 후궁에서는 빛을 감추어서 근심이 얼굴에 맺히고 염려가 종사(宗祀)에 미치더니 하늘이 지은 합(合)이라 새 왕후를 맞아오시와 첫아들을 낳으시어 위는 태자의 자리를 차지하시게 되었습니다. 성대한 공과 빛나는 덕에도 생존하실 때의 봉양이 미치지 못했으므로 마지막 가시는 길에 조심하여 이름을 현시(顯諡)로 더해 올리고 예를 옛 법대로 따랐습니다. 추숭(追崇)을 이미 극진히 할수록 사모하는 마음 더욱 깊건마는 왕후의 아름다운 옷이 이렇게 진설되어 있는데도 패옥 소리는 들리지 아니 합니다. 아! 슬프다. 신선의 행차는 구름이 옮기고 슬픈 만가(挽歌)는 새벽에 부릅니다. 공손한 슬픔이 대궐에 나타나고 모여선 신하들은 감회(感懷)가 깊습니다. 구름의 침침함이여 하늘도 시름이요 길은 멀고 멀어 땅은 가이 없습니다.풍수(風樹)가 그치지 아니 함이여. 무덤 속은 다시 밝지 못합니다. 아! 슬프다. 만물이 시들어서 가을은 쌀쌀하고 난초는 꽃이 져서 찬 이슬 같습니다. 초목을 보아도 감상이요 천지가 다하도록 연모(戀慕)라, 내 마음은 깃발처럼 흔들리고 내 눈물 비처럼 뿌려집니다. 도성문(都城門)에 나가서 주저하고 산언덕을 바라보며 한숨 쉽니다. 바람은 광야에 불어 슬픈 소리요 해는 안개 속에서 비참한 빛입니다. 생각은 끝 간곳 없고 운한은 돌을 굴릴만 합니다. 아! 슬프다. 좋은 무덤자리를 마침 하늘이 마련하였으니 길한 땅에 영원히 편안하리다. 산들은 옹위하여 둘러있고  물은 쏟아져 맑고 찹니다.이 자리에 편히 하셔서 영혼은 즐겁고 안녕하시와 우리 사왕(嗣王)을 돌보시와 만수무강 하며 종손과 자손 백대에 복으로 경사일 것입니다. 나를 믿지 못하겠거든 감히 이 글월로 맹세하옵니다. 아! 슬프도다.

익비(益妃) cybernation_back.gif top

아래의 글은 운영자가 인터넷에서 검색을 통해 발췌한 글입니다. 공민왕비중 한씨성인 분은 아래 기록된  익비가 있습니다. 익비와 순정왕비가 동일인인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고려 현종의  후예가 된다면 성(姓)만 한씨일뿐 고려왕실인 왕씨의 후손으로 우리 씨족과는 관련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생몰년 미상. 고려 공민왕의 비(妃).
현종의 아들인 평양공기(平壤公基)의 13대손인 덕풍군 의(德豊君義)의 딸이다.
1366년(공민왕 15) 왕비로 책봉되고 한씨(韓氏)를 사성(賜姓)받았다. 공민왕이 말년에 후사가 없는 것을 걱정하여 홍륜(洪倫)·한안(韓安)·김흥경(金興慶) 등으로 하여금 왕비들과 관계를 가지도록 하였는데, 정비(定妃)·혜비(惠妃)·신비(愼妃) 등은 죽음을 무릅쓰고 거부하였으나 익비는 홀로 공민왕의 강요에 의하여 이들과 정을 통하였다.
1374년 홍륜과의 사이에서 아이를 가짐으로써 공민왕이 홍륜을 죽이려 하였는데, 이것이 오히려 시해를 당하는 계기가 되었다.
1376년(우왕 2) 사헌부 관리들의 요청으로 홍륜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 죽임을 당하였으며, 1390년(공양왕 2)에는 공양왕의 딸인 경화궁주(敬和宮主)를 비가(妃家)에서 양육하였으므로 토지를 하사받았다


출처 http://www.koreandb.net/

 

우왕의 출생기록  cybernation_back.gif top

우왕의 탄생에 관한 기록중에 순정왕후에 관하여 언급된 내용이 있어 아래에 전재한다.

[고려사]에는 우왕의 출생 관련 기록이 나오는데, 이 기록에 따르면 공민왕 23년(1374)에 왕이 암살당하고, 그 해에 우왕이 즉위하였는데, 그때 나이가 10살이었다고 되어 있다. 즉 우왕은 공민왕 14년(1365)에 태어난 것이다. 노국공주가 공민왕 14년 2월에 사망하였다는 점을 생각하면, 반야는 노국공주가 죽기 전에 공민왕과 만났고, 임신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반야와 공민왕의 만남은 신돈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신돈은 공민왕에게 반야를 소개하였고, 왕은 반야를 가까이하여 뒤에 우왕이 되는 아들 모니노(牟尼奴)를 낳았다. 하지만 반야가 원래 신돈의 첩이었던 까닭에 구설수를 피하기 위해 반야와 모니노는 꽤 오랫동안 모습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었다. 반야는 신돈의 친구인 스님 능우(能祐)의 어머니 집에서 모니노를 낳았고, 능우의 어머니가 얼마간 모니노를 양육하다가 신돈의 집으로 보냈다. 반야의 존재가 공식적으로 드러나게 되는 것은 공민왕 17년 9월인데, 이때부터 그녀는 매달 30석씩 쌀을 받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그녀의 존재는 신돈의 실각과 더불어 지워지기 시작했다. 공민왕은 20년(1371) 7월에 신돈을 숙청하고, 곧바로 모니노를 명덕태후의 궁전에 데리고 왔다. 왕은 22년 7월에 모니노에게 우(禑)라는 이름을 주고, 강녕부원대군(江寧府院大君)으로 봉하였는데, 암살 직전인 23년 9월에는 이전에 죽은 궁인(宮人) 한씨가 강녕대군의 어머니라고 하면서 한씨의 아버지부터 증조부까지 3대와 외조부를 추증하였다. 며칠 뒤에 공민왕이 죽고 우왕이 즉위하였는데, 우왕은 11월에 한씨에게 순정왕후(順靜王后)라는 시호를 올렸다. 이로써 우왕의 생모인 반야는 고려 왕실에서 완벽하게 지워졌다.


출처 http://www.imbc.com/broad/tv/drama/sindon/

 신의왕후(神毅王后)   top

신의왕후 옥책문

신의왕후 죽책문

神毅王后 神道碑銘

신의왕후 신도비문

조선 태조(太祖)의 원비(元妃) 신의고황후(神懿高皇后) 청주한씨(1337~1391)는 충숙왕 5년 丁丑(1337) 9월에 영흥 에서 탄생하였다. 아버지는 영문하부사(領門下府事)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경(卿)이다. 황후는 태조가 개국하기 한 해 전인 고려 공양왕 3년 辛未(1391)9월 23일에 55세로 승하(昇遐)하였다. 그후 태조가 개국하자 절비(節妃)로 추봉(追封)하였다가 다시 신의왕후(神懿王后)로 추존되었고 한말에 고종황제가 칭제건원하면서 황후로 추존되었다. 신위(神位)는 종묘의 정전 제1실에 봉안되어 있고 능소는 경기도 개풍군 상도면 풍천리(현: 북한 판문군)에 있는 재릉(齋陵)으로 황후 홀로 안장되어 있다. 뒤에 승인순성(承仁純聖)의 존호 (尊號)가 추상(追上)되었다. 신의황후가 6남2녀를 탄육(誕育)하니 장남은 진안대군 방우(鎭安大君 芳雨)이고 차남은 정종대왕이요 3남은 익안대군 방의(益安大君 芳毅)요 4남은 회안대군 방간(懷安大君 芳幹)이요 5남은 태종대왕이며 6남은 덕안대군연(德安大君衍)이다. 장녀 경신공주(慶愼公主)는 찬성사 이정(贊成事 李佇), 차녀 경선공주(慶善公主)는 청원군 심종(靑原君 沈淙)에게 하가했다.

 

神懿王后 玉冊文(원문)

永念至恩不勝感愴追贈徽號惟極尊崇祗率舊章用申孝懇恭惟稟資神懿秉心順承德協乾元若塗山之配禹道全恒吉齊太姒之母周嚴敎子之義方篤逮下之仁恩伏念猥承厚澤嗣襲丕基爰卜良辰式陳縟禮伏惟謹遣某官某奉冊上尊諡曰神懿仰惟昭鑑俯諒精哀衍萬世之本支緜億年之曆服

신의왕후 옥책문(역문)  

지극하신 은혜를 길이 생각함에 감창(感愴)의 느낌을 이길 수가 없어 아름다운 칭호를 더하여 올리고자 하는바 이는 오로지 옛 장전(章典)을 경건히 계고하여 그에 따라 존숭(尊崇)을 극대히 하는것이오며 이로써 간절한 효성을 펼치는 바이옵니다. 공손히 생각컨데 신성하고 훌륭하신 천품의 자질로써 심성을 잡아 순승하시니 그덕이 건원(乾元)에 협화함이 마치 도산씨가 우(禹)임금의 배필이 되어 왕도가 완전하고 항길(恒吉)하게 된 것과 같고, 태사가 주나라의 국모가 된 것과 가지런히 되시어 자식을 가르치는 대의의 방정함을 엄히 하시고 저 아래까지 미치는 인덕과 은혜를 두텁게 하시었습니다.
엎드려 생각컨데 외람되이 제가 두터운 은택을 받들어 큰 기업(
基業)을 사습(嗣襲) 하였기에 바로 좋은 날짜를 점쳐서 가려 이로써 갖춘 의례를 펼치고자 하옵니다. 거듭 업드려 헤아리면서 삼가 아무 관직의 아무를 보내어 책보(冊寶)를 받들어 존시(尊諡)를 올려 가로되 신의(神懿)라 하옵니다. 우러러 생각컨대 오직 거울 같이 밝으심으로 이 정성과 애심(哀心)을 굽어 헤아리사 본손과 지손이 만대까지 번창하게 하시고 왕조의 역복(曆服)이 억만년 면면히 가도록 하여 주시옵소서

 

神懿王后 竹冊文(원문) cybernation_back.gif top

 

禮莫大於正名誠莫重於報本聿遵譔冊之典敢修定諡之儀恭惟我聖母韓氏氣鍾天和道符坤順表正人倫之本永孚于休弼成王化之基克昌厥後但以繼嗣之未定而致名位之有差伏念臣猥以庸材玆承景命克乎奪嫡之亂豈有他哉實賴在天之靈以至此耳爰曆日辰之吉特陳籩䇺之蠲宜薦丕稱荅揚休烈是用遣某官某謹奉冊上諡曰神懿洪惟冲鑑俯諒精哀啓我後人以祚永世

 

신의왕후 죽책문(太祖大王妃 神懿王后 竹冊文)  

禮는 명분을 바르게 하는 것보다 더 큰 것이 없고 효성은 낳아준 근본을 보답하는 것보다 중할 수 없습니다.드디어 책문 찬술하는 전(典)을 쫓아서 시호 정하는 절차를 거행합니다. 공손히 생각하건대 우리 성모(聖母) 한씨께옵서 기품은 화(和)하게 타고 나셨고 도는 곤순(坤順)에 부합하셨습니다. 인륜의 근본을 바로하여 길이 길한 운에 맞으셨고 왕화의 터전을 도와 이룩하셔서 능히 그 후손을 번창하게 하셨습니다. 다만 계사(繼嗣)를 정하지 못한 것으로 하여 그 명위(名位)의 차질이 있었던 것입니다. 엎드려 생각하옵건데 신은 외람되게 용재(庸材)로써 이와같이 큰 명을 이었는데 능히 적통을 뺏으려는 난을 평정시킨 것이지 어찌 다른 뜻이 있사오리까. 실로 하늘에 계신 영(靈)에 힘입어서 이에 이르렀을 뿐입니다. 이에 길한 일진을 택하여 특히 조촐한 제수를 드리오매 마땅히 큰 칭호를 올려서 아름다운 공을 들춰야 하옵기에 모관(某官) 모(某)를 보내서 삼가 책을 받들어 시호를 올려 신의(神懿)라 하오니 밝게 비추시어 정성을 굽어 살피시옵고 우리 자손들을 열어 주시고  긴 세대 복되게 하소서.

 

神懿王后 神道碑文 cybernation_back.gif top

 

 

신의왕후 신도비문 (역문) cybernation_back.gif top

有明朝鮮國承仁順聖神懿王后 齋陵神道碑銘幷序


推忠翊戴佐命功臣崇祿大夫議政府贊成事集賢殿大提學知 經筵春秋館成均館事兼判內資寺事 世子貳師 吉昌君 臣 權近 奉 敎撰(권근 지음)
大匡輔國崇祿大夫 領中樞府事 臣 徐命均 奉 敎書(서명균 글씨)
大匡輔國崇祿大夫 行判中樞府事 臣 兪拓基 奉 敎篆(유척기 전서)

예로부터 제왕이 천명을 받아 일어남에는 반드시 어진 비필(妃匹)이 덕을 같이하고 경사(慶事)를 기리는데 힘 입어서 그 계통을 영구히 한다. 하나라에는 도산(塗山)이 있어 계(啓)가 능히 계승하였고, 주나라에는 태사가 있어 무왕이 크게 계승하여 우임금과 문왕의 하늘을 짝하는 제사가 이것으로 말미암아 영원히 계속되었으니 아릅답고 성하도다! 우리 神懿王后께서 천자(天資)가 현숙하고 아름다우며 곤덕(坤德)이 유순하고 정숙하여 일찍이 용연(龍淵)에 빈(嬪)이 되어 왕업을 도와서 이루게 하였고 후하게 성철(聖哲)을 낳아서 대통을 끝없이 전하였으니 신이(神異)한 공과 아름다운 의범(儀範)이 옛사람에 비교하여 부끄러울 것이 없다. 아깝게도 대훈(大勳)이 이루어지게 되자 선유(仙遊:죽음)가 심히 급하여 태상(太上)께서 개국하신 뒤에 호의(壺儀)를 높일 수가 없고, 이성(二聖)이 대통을 이으매 영양(榮養:부모를 영화롭게 봉양함)을 이룰 수 없어서 산릉이 빛을 가리고 서리와 이슬이 슬픔을 더하니 아아! 슬프다. 처음 시호(諡號)는 절비(節妃)요 능호(陵號)는 재(齋)인데 뒤에 시호를 더하여 神懿王后라 하고 인소전(仁昭殿)을 두어 진용(眞容)을 모시었으니 추숭(追崇)하는 예전(禮典)이 이미 갖추어 거행되었다. 우리 주상전하께서 자의(慈儀)가 영원히 닫히어 효도의 생각을 펼 수 없는 것을 슬프게 생각하시어 이에 유사(有司)에게 명하여 큰 비에 명(命)을 세기게 하고 신(臣) 권근(權近)으로 하여금 비문을 지어 만세에 보이게 하시었으니 신(臣) 근(近)이 명을 받고 두려워하여 감히 사양하지 못하였다. 삼가 상고하건데 후(后)의 성은 韓氏이니 안변의 세가(世家)이다. 황고(皇考:부친)의 휘(諱)는 경(卿)이니 충성공근적덕육경보리공신벽상삼한삼중대광영문하부사안천부원군(忠誠恭槿積德毓慶補理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嶺門下府事安川府院君)을 주었고, 황조(皇祖)의 諱는 규인(珪仁)인데 적선육경동덕찬화익조공신(積善毓慶同德贊化翊祚功臣) 특진보국숭록대부문하좌정승판도평의사사겸판이조사안천부원군(特進輔國崇祿大夫門下左政丞判都評議使司兼判吏曹事安川府院君)을 주었고 황증조의 휘는 유(裕)인데 순성적덕좌명보리공신(純誠積德佐命輔理功臣) 숭정대부문하시랑찬성사동판도평의사사겸판호조사안원군(崇政大夫門下侍郞贊成事同判都評議使司兼判戶曹事安原君)을 주었고 황비(皇妣) 신(申)씨는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을 봉하였는데 증병의육덕보조공신숭정대부문하시랑찬성사동판도평의사사판형조사(證秉義毓德輔祚功臣崇政大夫門下侍郞贊成事同判都評議使司判刑曹事) 원려(元麗)의 딸이다. 후(后)는 낳아서부터 현숙하고 완순(婉順)하며 총명하고 슬기로워 범상한 사람과 달랐고 ○년(○년=15世 시집갈나이)에 미치매 배우자를 택하여 우리에게 와서 빈(嬪)이 되었다. 태상왕께서 처음에 장상(將相)이 되어 수십년 동안을 출입하며 공전(攻戰)하여 편안한 해가 없었는데 后가 능히 힘을 다하여 집안을 다스려서 성공하도록 면려(勉勵)하였고 또 성품이 투기(妬忌)하지 않아서 첩시(妾侍)를 예로 대접하였으며 많은 아들이 있어 의리로 가르치시었다. 지금의 우리 주상 전하께서 예철(睿哲)하고 영무(英茂)하여 성학(聖學)이 날로 진취하여 나이가 2십이 못 되어 과거에 급제하여 춘궁(春官=禮曹)에 벼슬하였다. 위주신씨(僞主辛氏=조선조에서는 고려 우왕을 신돈의 아들이라 하여 신우 등으로 칭함)의 무진년(1388)에 시중 최영이 화하(華夏=명나라)를 어지럽히려고 꾀하여 우리 태상왕이 위엄과 명망이 일찍이 나타났으므로 절월(節鉞)을 주어서 가서 요동을 치게 하였다. 태상왕이 대의에 의하여 군사를 돌이켜서 최영을 잡아 물리치고 명유 이색(李穡)으로 대신하니 나라의 안팎이 조용하여 나라가 길이 힘입었다. 색이 태상왕께 고하기를“중국과 흔단(釁端)을 일으킨 뒤를 당하여 집정한 사람이 친히 황제의 조정에 조회하지 않으면 공의 충성을 천하에 밝힐 수 없다”하고 날을 정하여 장차 떠나려고 하니 태상왕이 색에게 이르기를 “나와 공이 일시에 사자로 가면 나라일은 누가 하겠는가? 내가 자식 하나를 택하여 공을 따라서 가게하면 내가 가는 것이나 다름이 없소” 하고 우리 전하를 보내어 서장관을 삼았는데 특별히 고황제의 우대하는 예를 받고 돌아왔다. 기사년(己巳=1389) 가을에 또 황제가 칙서를 내려서 왕씨의 후사(後嗣)를 후예인 정창군(定昌君)요(瑤)를 세워 왕을 삼았다. 이보다 앞서 권간(權奸)들이 정사를 제멋대로 하여 강제로 빼앗고 속여서 빼앗았다. 태상왕이 그때 좌상이 되어 사전(私田)을 파하고 문란하여진 법을 다시 바로 세우니 폐해가 없어지고 이익이 일어나서 온갖 제도가 함께 새로워졌다. 공이 높으면 상주지 않고 덕이 크면 용납하기 어려운 법이다. 참소(䜛訴)와 간계가 서로 얽어서 모함하니 점점 번지고 젖어 들어오는 것이 헤아릴 수 없는데 정창(定昌)이 유약하고 암우하여 이럴까 저럴까 하고 결단을 내리지 못하였다. 후가 드디어 근심과 걱정으로 병이되어 신미년(1391)가을 9월 23일 흉서하니 향년이 55세였다. 예를 갖추어 성 남쪽 해풍군 치율촌의 언덕에 장사지냈다. 우리 전하께서 분묘 곁에 여막(廬幕)을 짓고 3년을 마치려고 하였는데 이듬해 임신년(1392) 봄에 태상왕이 서쪽으로 나갔다가 병을 얻어 돌아오매 전하께서 와서 탕약을 돌보았다. 간사한 무리가 틈을 타고 모함함이 더욱 급하매 우리 전하께서 사기(事機)에 응하여 계책을 결단하고 괴수를 쳐서 제거하여 흉도들이 와해되니 정창(定昌)이 더욱 꺼리었다. 가을 7월 16일에 두 세 사람의 대신과 더불어 대의를 주창하니 신료와 부로들이 모의하지 않고도 뜻이 같았으므로 말을 합하여 추대하였다. 태상왕이 군정(群情)에 못 이기어 왕위에 나가시니 저자도 바꾸지 않고 조정도 청명하였다. 곧 사신을 보내어 제정(帝政)에 들어가 아뢰니 잇달아 칙보(勅報)를 받아서 이미 왕작을 허락하고 또 국호를 고치어 조선이라는 아름다운 칭호를 회복하였다. 3년이 지난 갑술년(1394) 여름에 황제가 사신을 보내어 친아들을 입조시키라고 하였다. 태상왕께서 우리 전하가 경서에 통하고 禮에 밝아 여러 아들 중에서 가장 어질다고 여기시어 사신을 따라 입조하라고 명하시었다. 드디어 도착하매 황제가 더불어 말하여 보고 가상하게 여기어 넉넉히 상을 주어 돌려보냈다. 무인년(1398) 가을 8월에 태상왕께서 편치 못하시매 간신 정도전 등이 나라의 권세를 제멋대로 할 것을 생각하고 여러 적자(嫡子)를 없애고 장차 어린 얼자(孽子=첩의 아들)를 세우려고 음모하여 여러 무리들과 붕당을 만들어서 화란(禍亂)의 발생이 눈앞에 다가왔다. 전하께서 그 기미를 밝게 살피어 사태가 발생하기 전에 앞질러 베어 멸(滅)하고 태상왕께 아뢰어 청하여서 적장(嫡長)인 상왕(정종)을 맞아 세자로 책봉하니 이륜(彛倫)이 바로 서고 종사가 정하여졌다. 9월 정축에 태상왕이 병이 낫지 아니하여 상왕에게 전위하였다. 경진년(1400) 정월에 역신 박포(朴苞) 등이 동기를 해하려고 꾀하여 회안(懷安) 부자를 꾀어서 군사를 일으켜 대궐로 향하여 반역의 형세가 심히 치성(熾盛)하였다. 우리 전하께서 장수와 사졸들을 거느리고 독려하여 이내 평정하고 박포만 베고 나머지는 모두 묻지 않았으며 회안은 안치하여 의친(懿親)을 폐하지 않았다. 상왕이 후사가 없고 또 개국하고 정사(定社)한 것이 모두 우리 전하의 공이므로 이를 책봉하여 세자를 삼아 국본을 정하였다. 가을 7월 기사에 책보(冊寶)를 받들어 태상왕의 계운신무(啓運神武)의 호를 가상하고 겨울 11월 계유에 상왕도 또한 병으로 인하여 우리 전하에게 손위하고 사신을 보내어 고명을 청하였다. 이듬해 신사년에 건문제가 통정사승(通政寺丞) 장근(章謹), 문연각대조(文淵閣待詔) 단목례(端木禮)를 보내어 고명과 인장을 받들고 와서 우리 전하를 봉하여 왕으로 삼고 겨울에 홍려사행인(鴻臚寺行人) 반문규(潘文奎)를 보내어 면복(冕服)을 내려주고 질(秩)을 친왕에 비(比)하였다. 지금의 황제가 즉위하여 널리 만방에 고하매 전하께서 곧 좌정승 臣 하륜(河崙)을 명하여 들어가 등극을 하례하였다. 황제가 우리 전하께서 충성으로 사대하는것을 아름답게 여기어 고명과 인장을 내려주고 도지휘(都指揮) 고득(高得), 좌통정(左通政) 조거임(趙居任)을 보내어 금년 여름 4월에 그대로 봉하여 왕을 삼고 가을 9월에 또 한림대조(翰林待詔) 왕연령(王延齡), 행인(行人) 최영(崔榮)을 보내어 곤면구장(袞冕九章)과 금단(錦段) 사라(紗羅) 서적(書籍) 그리고 왕비의 관포와 금단 사라 태상왕의 금단 사라를 내려주어 세상에 드믄 총전(寵典)이 전후에 답지(遝至)하였다 대개 우리 전하의 공덕이 성한 것은 실로 하늘이 열어준 바로서 오로지 대동을 부탁하여 홍도(鴻圖)와 휴명(休命)을 연장하게 하였으니 황제의 융숭한 권고를 받아 천록의 영구함을 누려야 마땅할 것이다. 기업을 창시한 자취는 비록 조종에서 부터이나 자손을 후하게 낳으신 경사는 실로 신의왕후에서 말미암은 것이니 아! 성하도다. 후(后)께서는 여섯 아들을 낳았으니 상왕이 둘째이고 우리 주상 전하가 다섯째이다. 맏은 방우(芳雨)이니 진안군을 봉하였으나 먼저 죽었고 셋째는 방의(芳毅)이니 익안대군을 봉하였고 넷째는 방간(芳幹)이니 회안대군이다. 여섯째는 방연(芳衍)이니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일찍 죽었다. 딸은 두분이 있으니 맏은 경신궁주(慶愼宮主)로서 찬성사 이저(李佇)에게 출가하였고 다음은 경선궁주(慶善宮主)로서 청원군 심종(沈淙)에게 출가하였다. 상왕의 배위는 김씨로서 지금 왕대비를 봉하였으니 증좌시중(贈左侍中) 천서(天瑞)의 딸이고 우리 전하의 배위는 정비(靜妃)이니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 영예문춘추관사(領藝文春秋館事) 민제(閔霽)의 딸이다. 맏아들은 원자(元子) 제(禔)이고 둘째와 셋째 아들은 모두 어리다. 맏딸은 정신궁주(定愼宮主)이니 청평군 이백강(李伯剛)에게 출가하였고 다음은 경정궁주(慶貞宮主)이니 평령군(平寧君)조대임(趙大臨)에게 출가하였고 나머지는 모두 어리다. 진안군은 찬성사 지윤(池奫)의 딸에게 장가들어 아들 복근(福根)을 낳았으니 봉령군(奉寧君)이고 딸은 소윤 이숙무(李叔畝)에게 출가하였다. 익안은 증찬성사 최인두(崔仁㺶)의 딸에게 장가들어 아들 석근을 낳았으니 원윤(元尹)이고 딸은 첨총제 김한(金閑)에게 출가하였다. 회안은 증찬성사 민선(閔璿)의 딸에게 장가들어 아들 맹종(孟宗)을 낳았으니 의령군이고 딸은 종부령(宗簿令) 조신언(趙愼言)에게 출가하였고 나머지는 모두 어리다 臣(신) 근(近)은 일찍이 살펴보건대 삼대(夏殷周) 성왕의 후비(后妃)의 덕이 도산(塗山) 태사(太姒)보다 더 큰 이가 없어 시경(詩經) 서경(書經)에 실려있어 천고에 밝게 빛나는데 신의(神懿)의 덕이 진실로 그들과 더불어 아름다움을 짝할만하다. 다만 臣 근(權近)이  학식(學識)이 천박(淺薄) 하고 필력(筆力)이 비졸(鄙拙)하여 비록 지극히 형용(形容)하나 天地를 그리는 것 같으니 어찌 능히 만분의 일이나마 비슷하게 할 수 있겠는가? 감히 주(周)나라 대아(大雅)의 대명장(大明章)과 사제장(思齊章)의 뜻을 상고 하여 삼가 명사(銘辭)를 지어서 절하고 머리를 조아려 올린다. 그 사(詞)에 이르기를

上帝赫赫啓佑有德    상제(上帝)가 밝고 성하시어 德이 있는 이를 계도(啓導)하여 돕나니

匪伊私之爲民之極    사사로움을 위해서가 아니라 백성을 위함이 지극 하기 때문이다.

其啓維何迺生柔嘉    그 啓導는 무엇인고 하니 유순하고 아름다운 이를 낳아 오니

來配于德允宜室家    德이 높은 임금의 배필이 되어 실가지락(室家之樂) 마땅하고

載震載育厥靈是赫    임신하고 낳아 기르니 그 정령(精靈)이 밝고 밝아

篤生聖哲天人攸屬    모든 사람이 기대하던 착하고 어진 이를 낳았네,

扶翊聖父誕作民主    거룩한 아버지를 도우시고 백성들의 임금이 되어

躬朝帝庭保我邦土    몸소 황제 앞에 나아가 우리 方土 보전하였네,

孼芽之萌炳幾維明    서얼(庶孼)의 화란(禍亂)이 싹틀 때에 기미를 밝게 살펴

廓爾汎掃宗社載寧   시원스레 소탕하니 종묘와 사직이 편안하게 되었네

功成克讓以尊嫡長   九功을 세우고 사양하여 적장왕자(嫡長王子) 높이시니

彛倫旣正基勢益壯   윤리가 바로서고 기세(基勢)가 더욱 壯하여 졌네,

迺遭墻閱不忍致辟   형제의 집안싸움 만났으나 지친 죽일 수 없고

俾獲保全友愛彌篤   그 생명 보존하게 하시어 우애함이 더욱 돈독 하였네

維德之隆維功之崇   德은 높고 功은 크니

宜紆帝眷錫命稠重   황제의 권고(眷顧)를 받는 것이 마땅하여 命을 주심이 중첩 하였네,

明明帝誥煌煌金寶   황제의 밝고 밝은 고언과 빛나는 금보(金寶)를

我龍受之萬世永保   우리 임금이 받으시어 萬世에 길이길이 보존 하리라,

粤惟王迹祖宗攸積   왕업의 자취는 조종이 쌓은 것이나

誕我聖神繄繇后德   우리의 성신(聖神)은 후덕(后德)으로 말미암았네,

臣拜稽首獻辭不苟   臣이 절하고 머리를 조아려 올리는 말씀이 구차한 것이 아니니

萬世昭垂天地永久   萬世에 밝게 전하여 天地와 같이 영구 하리라.

 

 ※ 비문은 권근이 지난해에 지은 것인데 화장사의 묵은 비를 갈아서 새기었다.

   소재 : 경기도 개성군 상도면 풍천리 (현:북한 판문군)

   년시 : 조선 태종원년 신사(1401)세움

   후 영조20년 갑자(1744)고쳐 세움

 

명 성조(成祖) 려비(麗妃)    top

명(明=1368~1644) 성조(成祖=제3대 황제 太宗 永樂帝 재위1402-1424 )의 려비(麗妃)는 증영의정(贈領議政) 서성부원군(西城府院君) 영정()의 따님이다. 세조 때 좌의정을 지낸 양절공(襄節公) 확(確)의 누님으로  明 선종(宣宗=제5대 황제 宣德帝 재위1425-1435)의 妃인 공신부인(恭愼夫人)의 언니 이기도 하다. 양절공 확이 명 성조로 부터 봉의대부(奉儀大夫) 광록사소경(光錄寺小卿)에 제수 된 일도 麗妃를 위한 예우였다고 전한다.

 

  明 太宗皇帝(成祖)麗妃祭文

皇妃謹遣內官王賢致祭于母金氏之靈曰惟我母氏鞠育劬勞德厚恩深莫克酬報女以弱質選嬪宮闈仰荷 皇上恩睿享有富貴隆加賚錫榮及一家方期我母益臻眉壽永享康寧詎意一朝濜然長逝追惟存沒豈勝哀痛玆特遣祭用表徵忱靈其如在伏惟鑑歆

  명 태종황제려비(麗妃)의 어머니에게 올린 제문(역문)

황비(皇妃)는 삼가 내관 왕현을 보내어 어머니 김씨의 신령에 제사 지내며 말씀드립니다.우리 어머님이 기르시던 수고를 생각 하오면 덕이 후하시고 은혜가 깊사와 갚을 길 없사옵니다. 여식이 연약한 체질로 궁중의 빈(賓) 으로 뽑히어 황상(皇上)의 은총을 받아 부르심에 길이 강녕하심을 누리실까 기약 하였더니 어찌 뜻하였사오리까. 하루 아침에 영영 가시다니 생사의 사이에 추념 하오면 어찌 애통함을 이기오리까. 이에 특별히 내관을 보내어 제사를 드리오니 영혼이 계시거든 하감 하시고 흠향 하옵소서

 

명 선종 선덕제 공신부인(明 宣宗 宣德帝 恭愼夫人)   top

헌종황제 사제문

공신부인 묘표

공신부인 묘표(역문)

공신부인 묘지명

공신부인 묘지명(역문)

明 선종(宣宗=宣德帝 재위1425-1435)의 공신부인(恭愼夫人)은 증영의정(贈領議政) 서성부원군(西城府院君) 영정()의 따님으로 성조(成祖) 영락제(永樂帝) 려비(麗妃)의 동생이며, 세조 때 좌의정을 지낸 양절공(襄節公) 확(確)의 동생이다. 

 

明 憲宗皇帝賜祭文 cybernation_back.gif

 

祭文曰皇帝遣司設監太監王琚賜祭于恭愼夫人韓氏曰惟爾溫柔敬愼令善足稱給事宮闈久著勞勩壽考惟寧宜享祺福一疾而逝聞訃悼嗟玆特贈爲恭愼夫人遣官諭祭仍勅有司爲營葬事鳴呼生而賢淑沒荷榮名人生如此可無憾矣爾其享之

헌종황제가 공신부인에게 내린 제문(역문)

황제는 司說監 太監 王据(사설감 태감 왕거)를 보내 공신부인 한씨에게 제문을 올림니다. 부인께서는 溫柔敬愼(온유경신)하여 아름답고 착함이 칭찬하기에 족하며 궁중에 일을 맡아 오랫동안 공로가 드러났고 壽福(수복)이 康寧(강녕)하여 마땅히 큰 복을 누릴 것인데 병으로 세상을 떠나신 訃音(부음)을 들으니 슬픔에 탄식하옵니다. 이에 특별히 공신부인을 추증하고 관원을 보내어 諭祭(유제)하며 또한 유사에게 명하여 장례를 치르게 하옵니다. 아아! 살아서는 어질고 착하셨으며 돌아가서는 영화로운 이름을 얻으셨습니다. 인생이 이와 같으면 유감이 없을 것이니 부인께서는 흠향하옵소서.

註 위의 祭文은 宣德帝의 孫子인 明 第9代 皇帝인 憲宗 成化帝(재위1464-1487) 朱見深이 恭愼夫人 韓氏에게 내린 祭文이다.

宣宗宣德帝恭愼夫人墓表  cybernation_back.gif top

명 선종 선덕제 공신부인 묘표cybernation_back.gif top

부인의 성은 韓이요, 諱는 계란(桂蘭)인데 대대로 조선국 재상(宰相)의 집안이다. 아버지의 휘는 영정(永矴)이요, 어머님은 金氏인데, 영락(永樂)8년庚寅年(조선 태종10년 1410)4월 9일에 부인이 났다. 선덕(宣德)丁未年(세종9년 1427)에 내정(內庭)에 뽑혀 이제까지 57년이 되었는데 四朝에 거쳐 섬겨서 시종(始終) 공경하고 삼가기를 하루와 같이 하였다. 갑자기 병이 들자 황제가 좌우 사람을 보내고 내의(內醫)에게 명하여 치료하게 하였으나 효력이 없이 卒하니 때는 성화(成化)癸卯年(성종14년 1483)5월18일이다. 황제가 듣고 슬퍼하며 애석해 하기를 여러번 하여 태감(太監) 왕거(王据)를 보내어 유제(諭祭)하고 백금 백만과 채단 사표리(四表裏)를 하사하고 시호(諡號)를 공신(恭愼)으로 하여 지나간 행실을 밝게 드러내고,또 내관감(內官監) 태감(太監) 손진(孫振)에게 명하여 장역(葬域)을 경영하게 하고, 사설감(司設監) 태감(太監) 왕거(王据) 우적(牛迪), 곡청(谷淸)에게 상사(喪事)를 총리(總理)하게 하였으니 황태후(皇太后), 중궁(中宮), 안희궁(安喜宮), 동궁(東宮)이 모두 부의(賻儀)가 있었다. 장사는 이해 6월21일에 하였는데 墓는 도성 서쪽 향산(香山) 언덕에 있다. 왕거(王据) 등이 조정의 사랑과 은혜가 끝까지 이처럼 거듭함으로써 글이 없을 수 없다고 하여 묘위의 돌에 기록하여 큰 덕을 영구히 전하게 하여 이에 행장(行將)을 갖추어 나에게 글을 부탁하기에 그동안 행장을 상고해 보니  부인은 성품이 유순하고 착하여 말을 망령되게 하지 아니하고 행동에 떳떳하며 내의(內儀)에 하나하나 능히 알고 기억하니 모든 집사(執事)가 함께 姆師로 높이 받들었다. 무릇 음례(陰禮)의 행사에는 반드시 나아가서 질의를 받으면 거의 틀림이 없었고 결루(結縷)의 工에 반드시 자문을 구하였으니 여기에 정밀함이 지극 하였다. 혹시 조정의 여러 내령(內令)을 잊어 와서 묻는자가 있으면 "이규칙은 선묘(宣廟=선종)의 令이고 이규칙은 영묘(英廟=英宗 正統帝)의 영이다." 라고 머뭇거림이 없이 말하니 이런 까닭에 궁중의 비빈이하가 다 이름을 부르지 아니하고 일컫기를 老老(노로)라 하였다고 한다. 여러 조정에서 하사한 것은 다 기록 할 수가 없고 今上(憲宗)에 이르러 하사한 것은 전에 비하여 더욱 후하였는데 부인이 이따금 받으면 더욱 겸손하고 삼가하며 두려워하여 감당하지 못하는 것처럼 하였으니 살아서는 皇室(황실)의 록(祿)을 누리고, 죽어서는 거듭 은혜를 입음이 마땅하다. 유제문(諭祭文)에 쓰기를 "온화하고 유순하며 공경하고 삼가서 아름답고 착함이 칭찬하기에 족하다"고 하였고, 고봉사(誥封詞)에는 "공경하고 부지런하며 삼가고 세밀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변하지 아니 하였다"는 글귀의 표창이 있었으니 어찌 지나친 칭찬이겠는가? 부인은 어질도다! 옛날을 생각하여 살피건데 先王의 덕과 교화의 성함이 안으로는 규문(閨門)으로부터 온 천하에 이르니 비록 부인이라도 우리 祖宗(조종)의 교화의 융성함에 힘입어서 지난일과 나란히 하니 비유컨데,봄 바람의 화한 기운과 같이 가는 곳마다 빛이 난다. 부인은 해동(海東)에서 부터 오래 금중에 있으면서 어려서부터 장성 할 때까지 배우고 익힘이 많아 아름다운 행실과 매사에 능하여 여러 사람에게 존중을 받고 조정에 알려져서 생사간에 넓은 은혜와 큰 덕을 받음이 어찌 우연한 일이겠는가? 묘표에 기록함이 이에 미치니 우리 조정의 교화가 널리 미친 것을 여기서도 볼 수 있도다. 이에 예로서 표하도다.

이부상서(吏部尙書) 만안(萬安) 지음(撰)

 

宣宗宣德帝恭愼夫人墓誌銘 cybernation_back.gif top

 

명선종선덕제공신부인묘지명(明宣宗宣德帝恭愼夫人墓誌銘) cybernation_back.gif top

 

성화(成化) 계묘년(성종14, 1483) 5월 18일에 부인 한씨가 졸(卒)하였다. 이에 앞서 부인의 병이 중하자 황제가 좌우 사람을 자주 보내어 살피게 하고 겸하여 약으로 치료하게 하였는데 얼마 되지 않아 운명하였다. 황제가 슬퍼하고 애석해 하기를 여러 번하고 사설감(司設監) 태감(太監) 왕거(王琚)를 보내어 유제(諭祭)한 글에 "온화하고 유순하며 공경하고 삼가하여 아름답고 착함이 칭찬하기에 족하다." 라는 글귀가 있고 백금 백만과 채단(綵緞) 네 표리(表裏)를 하사하였으며 시호를 공신(恭愼)으로 내려서 태감 손진(孫振)에게 명하여 장역(葬域)을 경영하고 태감 왕거, 우적(牛迪)과 소감(少監) 곡청(谷淸)에게 상사(喪事)를 총리(總理)하게 하였으며 황태후, 중궁, 안희궁(安喜宮), 동궁이 모두 후한 부의(賻儀)가 있었다. 이해 6월 21일을 받아 도성 서쪽 향산(香山) 언덕에 장사하였으니 부인은 영광이다. 태어난 날은 영락(永樂) 경인년(태종10년 1410) 4월 9일인데 수(壽)가 74세이다. 왕거가 장(狀)을 가지고 유후(劉珝=묘지명을 지은 사람)에게 주며 묘지명(墓誌銘)을 지어 유택(幽宅)에 넣게 하므로 기록한다. 부인의 휘(諱=이름)는 계란(桂蘭)이니 대대로 조선국 청주의 재상 집안이다. 아버지의 휘는 영정(永矴)이고 어머니는 김씨이다. 선덕(宣德) 정미년(세종9년, 1427)에 국왕이 내정(內庭)에 선발해 올려서 이제 57년이 되었는데 네 조정(4명의 황제)을 거쳐 섬기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게 조심하여 말을 망령되게 발(發)하지 아니하고 행동이 떳떳함이 있으며 또 성품이 착하여 능히 여러 사람과 화목함으로 빈어(嬪御)의 무리가 신임하고 의심하지 아니하였다. 혹시 음례(陰禮)의 행사를 당하면 반드시 몰래 문의를 구하는데 부인이 말하기를 "무엇은 행할 만하고 무엇은 행할 수 없다." 고 하며 혹시 전유(剪紐)의 제도에 있어서도 반드시 몰래 가르치기를 구하면 부인이 말하기를 "무엇은 만들 만하고 무엇은 만들 수 없다."고 하였다. 또 혹시 옛 내령(內令)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있어 반드시 몰래 밝히기를 청하면 부인이 말하기를 "내 기억으로는 宣聖(선종=명의 5대 황제)의 영(令)은 이와 같고 英聖(영종=명의 6대 황제)의 영은 이와 같다."라고 하였으니 빈어 이하가 모두 비켜 말하기를 여사(女師)라고 하였다. 지금 황상의 은혜가 천지와 같아서 무릇 넓은 하늘밑과 땅위에 한 지아비와 한 지어미라도 모두 그 덕택을 입는데 하물며 부인은 궁중에서 일을 받든 것이 오래인데 어떻겠는가? 그러므로 불시(不時)에 하사하는 것이 전일보다 더욱 후하였는데 부인은 더욱 조심을 더하여 마치 감당하지 못하는 것처럼 하였다. 젊어서부터 늙을 때까지 황가의 록(祿)을 누렸고 죽은 뒤까지 은전이 쇠하지 아니하였다. 아아! 부인의 고국에는 대가거족(大家巨族=명문대가)이 있고 억만 백성이 있는데 그 안에 한번 중국에 이르러 누대전각과 의관문물의 성함을 보게 되면 돌아가서 자랑하기를 "내가 중국의 문물을 보았다."고 하는데 이제 부인은 몸이 중원에 이르렀을 뿐만 아니라 또한 네 조정을 거쳐 섬기고 궁중에 거처하면서 중원에서 보지 못한 바를 보았으며 일생이 영화롭고 귀하며 이름을 간책(簡策=역사)에 썼으니 어찌 이 같으면서 오히려 유감이겠는가? 이에 명(銘)한다.

 

동국에 태어나서 중원으로 진출하였네                       生乎東國    進乎中原

천부를 공경히 섬기고 몸은 향산에 묻혔네                  恭事天府    埋玉香山                                                                                       

부인을 추증하며 아름다운 시호를 내렸으니                夫人之贈    美諡之頒

주는 은혜 두터우매 아름다운 넋이 길이 편안하리        恩惟腆    懿魄永安

비석에 글을 새겨 세상에 전하노라                             勒銘墓石    傳播人寰

 

호부상서(戶部尙書)  유후(劉珝) 지음(撰)

 

명하여 위의 족축(簇軸) 다섯과 출장도축(出葬圖軸) 하나를 좌참찬(左叅贊) 한치례(韓致禮)에게 부쳐주었다.
한치례(韓致禮) :1441(세종 23)∼1499(연산군 5). 무과(武科)에 급제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좌참찬,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 서릉부원군에 봉(封)해짐. 시호는 장간(莊簡).

덕종대왕비 소혜왕후 (德宗大王妃 昭惠王后)    top

봉왕세자 수빈교명

인수왕비봉숭책문

가상존호 옥책문

인수대비로 더 잘 알려진 소혜왕후(昭惠王后 1437~1504)는 추존왕(追尊王) 덕종대왕(德宗大王)의 비로 세조때 좌의정을 지낸 서원부원군(西院府院君) 확(確)의 딸로 세종19년丁巳(1437) 9월8일에 탄생하였다.

세조대왕이 대군으로 있을 때 도원군(桃原君) 장(暲)과 결혼하여 수양대군이 즉위 하고 도원군이 세자로 책봉(冊封)되자 세조1년乙亥(1455)에 세자빈으로 수빈(粹嬪)에 책봉되었다.

그러나 2년 뒤인 세조3년 9월 2일에 세자가 급서(急逝)하니 21세로서 청상이 되었다. 그 뒤 비의 소생인 성종이 즉위한 후 성종2년 辛卯(1471)에 부군(夫君)이 덕종으로 추존되면서 인수(仁粹)왕비로 진봉(進奉)되고 연산군10년甲子(1504) 4월 27일에 68세로 승하하여 시호(諡號)가 소혜(昭惠)로 올려졌다. 그 사이에 휘숙명의(徽肅明懿)의 존호(尊號)를 더하여 받기도 하였다.

많은 일화를 남긴 바 있는 소혜왕후는 불교를 독실하게 믿고 불경에 조예가 깊어 범어(梵語), 중국어(中國語), 국어(國語) 삼자체(三字體)로 쓴 불서(佛書)를 남겼고 특히 부녀자의 예의범절을 위해 편찬한 내훈(內訓)을 남겼다.

소생은 2남 1녀를 탄육(誕育)하였는데, 장남은 월산대군(月山大君) 차남은 성종대왕이며 따님은 명숙(明淑)공주로 당양군(唐陽君) 홍상(洪常)에게 하가(下嫁)하였다.

신위(神位)는 영령전(永寧殿) 서협(西夾) 제8실(第八室)에 덕종과 함께 봉안되어 있고 능소는 경릉(傾陵)으로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서오릉(西五陵)에 덕종과 같은 경내의 이강(異崗)에 안장되어 있다.

 

封王世子 粹嬪敎命(世祖元年乙亥 七月 己亥日)

 

敎曰世子國本宜有賢配以共承宗社之重咨爾韓氏元勳茂族禮儀名家蚤配冢嗣柔順溫惠玆屬春宮之建庸正爾位號命爲王世子嬪其光膺寵命益懋猷敬哉


봉왕세자 수빈교명(1455년=세조원년 7월 기해일)

 

하교하노라. 세자는 나라의 근본이니 마땅히 좋은 배필이 있어 한가지로 종묘사직의 중함을 받들어야 할 것이려니와 이르건대 너, 韓氏는 원훈(元勳)의 무성하게 드러난 망족(望族)의 예의 있는 명가에서 자라나 일찍 총사(冢嗣=재상가의 후사 곧 수양대군 맏아들의 신분을 말함)의 배필로 들어와 유순하고도 온혜하였으므로 지금 춘궁(春宮=왕세자)을 세움에 접하여 이로써 너의 위호(位號)를 바로 하고자 명하여 왕세자빈을 삼노니 이 은총의 명을 빛나게 받아 더욱 힘써 도모하고 공경할지어다.


 

仁粹王妃 封崇冊文(成宗二年辛卯正月辛卯日) cybernation_back.gif top

恭以仰惟鞠育之恩欲報罔極第崇徽懿之號在禮當先玆率舊章載揚縟典恭惟慈仁靜一淑愼柔嘉贊昭考之元良允執婦道訓眇躬之愚昧式隆母儀不有殊美之稱曷表推崇之懇臣娎不勝大願謹奉冊寶上尊號曰仁粹王妃伏惟光膺寶冊茂迓純禧聖算延洪益膺萬歲之慶長秋怡悅永享一國之歡


 

인수왕비 봉숭책문(1471=성종2년 정월 신묘일) 


우러러 생각하건대 국육(鞠育)하여 주신 은혜를 보답코자 하여도 가이 없어 다만 휘의지호(徽懿之號)를 높여 드리고자 하는 바 예에 있어서는 마땅히 먼저 옛 장전(章典)에 의거해야 하겠기에 이를 다하여 이에 성대한 식전을 드날리고자 하옵니다.

우러러 생각하건대 자인(慈仁)하고 정일(靜一)하시며 숙신(淑愼)하고 유가(柔嘉)하심으로 소고(昭考=밝으신 아버님 곧 덕종)의 원량(元良:세자 때의 칭호)을 도와 능히 부도(婦道)를 견지하시고 묘궁(眇躬=작고 보잘 것 없는 몸)의 우매함을 가르치사 국모의 의범을 융성하게 하시었으니 특별히 아름다운 칭호가 아니고서야 무엇으로 간절한 추숭(推崇)의 정성을 표할 수 있으오리까.

신 혈(娎=성종의 이름)은 크나큰 소원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보책(寶冊)을 받들어 존호(尊號)를 올려 가로되 인수왕비(仁粹王妃)라 하옵니다. 업드려 오로지 바라옵나니 이 책보를 빛나게 받으시어 순수한 복희(福禧)를 맞으시고 성산(聖算=임금의 나이)이 크게 연이어지사 더욱 만세의 경사를 안으시고 장추(長秋=내후의 궁전)의 즐거움과 기쁨으로 길이 한 나라의 환희를 누리소서.

 

 

仁粹王妃 加上尊號 玉冊文(成宗六年乙未二月丙午) cybernation_back.gif top

克嗣徽音闡翟儀於坤軸載稱盛美上鴻號於椒闈恭惟道繼虞嬪德協文母配先聖修諸內治敬戒無違保小子式至今休劬勞罔極仰念顧復每懷顯揚受天之光縟禮己隆於宮壼尊親爲大榮孝當盡其情文用伸歸美之辭聿擧推崇之典伏惟丕膺寶冊茂對純禧長樂怡愉享一國之養壽美錦遠將奉萬年之懽


인수왕비 가상존호 옥책문(1475년 2월 병오일)

능히 휘음(徽音=왕후의 아름다운 덕망)을 이으사 곤축(坤軸=땅의 굴대란 뜻으로 임금에 대한 왕후의 자리)에 적의(翟儀=왕후의 위의)를 드러내시었으므로 이에 성대한 아름다움을 청하여 초위(椒闈=궁정의 내정담 안) 에 크나큰 위호를 올리옵니다. 우러러 생각하건데 도리로서는 우빈(虞嬪=夏나라 우 임금의 도산씨)을 이으셨고 덕은 문모(文母=주 문왕의 어머니 太妊)에 협화 하시어 선성(先聖=성종의 부왕 덕종)의 배필이 되시니 내치(內治)를 닦으시고 경계하심에 어긋남이 없으셨으며 소자(小子=성종)를 보육 하사 오늘의 훌륭함이 있게 하시었으니 그 구로(劬勞=어버이가 자식을 낳아 기르는 온갖 노고)는 끝이 없습니다. 이를 우러러 되돌아보고 생각하매 그 하늘로부터 받으신 빛을 현양(顯揚)해 드리고자 함이었습니다. 그리하여 성대히 갖춘 예식은 이미 관부와 대궐 안길에 이루어져 융성하온즉 어버이를 높이는 것은 자식의 크나큰 영광이요, 효도는 마땅히 그 정문(情文=내용과 형식)을 대해야 하는지라 이로써 아름다움을 돌리는 말씀을 펼쳐 추숭해 올리는 의전을 거행 하옵니다. 엎드려 바라옵건대 보책(寶冊)을 크게 받으사 순한 복을 무저(茂著)히 대하시고 장락(長樂=왕후의 궁전)을 즐기고 기뻐하시면서 한 나라의 봉양을 누리시고 멀고도 아득한 장수의 아름다움으로 장차 만년의 환희를 섬겨 받으시옵소서.

예종대왕비(睿宗大王妃) 장순왕후(章順王后)  top

장순왕후 시책문

章順王后 恭陵誌

장순왕후 공릉지


장순왕후(1445~1461)는 예종대왕비(睿宗大王妃)이다. 장순왕후(章順王后) 청주한씨(淸州韓氏)는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會)의 딸로 세종27년 乙丑(1445)1월16일에 탄생하였다. 세조6년 庚辰(1460)에 16세로 5년 연하인 세자(해양대군=예종)와 가례를 올려 세자빈으로 책봉되고 이듬해인 辛巳(1461)년 11월 30일에 인성대군(仁成大君) 분(糞)을 낳았는데 산후 건강악화로 12월 5일에 17세의 나이로 요서(夭逝)했으며, 성종3년 壬辰(1472)에 세자빈에서 왕후로 추존되고 장순의 시호(諡號)를 받았으며, 신위는 종묘의 영녕전(永寧殿) 서협(西夾) 제9실에 예종과 함께 배향되어 있다. 능은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리에 있는 공릉(恭陵)으로 왕후 홀로 안장되어 있다.

소생은 인성대군(仁成大君) 분(糞)인데 세조 9년(1463) 10월 24일에 3세의 나이로 요졸(夭卒)했다.


 

章順王后 諡冊文 世祖8年(壬午=1462) 2月 17日 cybernation_back.gif top

 

表行定諡君父之至情節惠易名古今之常典爰擧顯冊用賁幽扃惟爾韓氏生從令門早入儲邸每承顔以怡悅常率下而肅雍德配离明望孚少陽之儷祥凝震索夢協大人之点慶宗社之攸歸喜蘋藻之有托庶延龜算益贊鴻圖何不叿吊於靈旻而遞戹於殤夭蟾宮墜魄鶴闈○悲痛瑤華之云亡念徽音之如在情豈間於存沒禮宜備於哀榮玆遣判漢城府事臣鄭軾贈爾諡章順(溫克令儀章 柔賢慈惠順)鳴呼生也有涯雖未窮百年之樂死而不朽庶幾綏萬世之祺哀爾英靈體我寵命

 

장순왕후 시책문(세조8년 임오=1462 2월 17일)

 

행의를 표창하고 시호를 정하는 것은 군부(君父)의 지극한 정의(情宜)요, 은혜로운 절목(節目)으로 이름을 바꾸어 부르는 것은 고금의 떳떳한 전장(典章)이니 이에 책보(*冊寶)를 드러내어 거행하고 이로써 유궁(幽宮:무덤)의 문호를 빛나게 하노라. 생각컨데, 너 韓氏는 좋은 가문에서 태어나 일찍이 저저(儲邸:세자의 궁)에 들어와 매양 윗전의 안색을 살펴서 받들되 기쁘고 즐겁게 하였고 항상 아랫사람을 거느림에 정숙하고 화목하였도다. 그 덕에 세자와 짝하여 여망(與望)을 밝혔으며 미등(未登)인 소양(少陽:세자)의 항려(伉儷:배필)로서 상서로움이 진궁(震宮:東宮)의 안길에 서리어 모이게 하였고 대인(大人:친정 아버지)이 몽조(夢兆)로 점지 받은 바에 화협(和協)되어 그 경사로움이 우리  종묘와 사직으로 돌아오는바 되었도다. 이에 빈조(蘋藻:모든 수초 즉, 창생을 뜻함)가 의탁함을 얻게 된 것을 기뻐하면서 바라건데 구산(龜算)의 장수를 누리면서 이 크나큰 기업(基業)을 익찬(益贊)하기를 바라거늘 어찌 저 영험한 하늘이 돕지 아니하여 돌연히 요상(夭殤)하는 재앙을 내리시는가. 섬궁(蟾宮)의 혼백이 떨어지니 학위(鶴闈)는 슬픔에 뒤 얽혔도다. 요화(瑤華)가 떨어져 없어졌음을 비통해하면서 생각하면 네 아름다운 음성이 여전히 귀에 남아 들리는구나. 정리로 보아서야 어찌 죽고 산 것에 간격이 있으fi, 예로 보아서는 마땅히 마지막을 보냄에 애통하면서도 영전(靈典)을 갖추어야 하는 것이매 이에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신(臣) 정식(鄭軾)을 보내 너에게 시호를 증(贈)하여 장순(章順)이라 하노라. 오호라, 삶에는 끝이 있는 바이라 네가 비록 살아서 백년의 즐거움은 누리지 못하였다 하나 사후에는 불후(不朽)로 쓰러지지 아니하고 바라건대 만세토록 상서를 드리울지어다. 너의 영령을 애도하는 나의 이 총명(寵命)을 부디 체득할진저.

 

章順王后 恭陵誌 世祖8年(壬午=1462) 2月 17日 cybernation_back.gif top

 

 

장순왕후 공릉지 세조8년(壬午=1462) 2월 17일 cybernation_back.gif top

 

빈(嬪) 韓氏는 상당(上黨=청주의 옛이름)의 벌족(閥族)이니 먼 조상 휘(諱)란(蘭)은 고려초에 삼한공신이란 칭호를 받았다. 그 뒤에 가장 두드러진 사람으로 휘(諱)악(渥)이 고려에 벼슬하여 정승의 지위에 올라 사숙(思肅)이라 시호하고 충혜왕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으며 휘수(脩)가 판후덕부사로 문경(文敬)이라 시호하였으니 빈(嬪)에게 고조부가 된다. 증조부 휘상질(尙質)은 본조(本朝=조선왕조)에 벼슬하여 관(官)이 자헌대부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에 이르렀고 문열(文烈)이라 시호하였으며 조부 휘기(起)는 순충적덕병의보조공신(純忠積德秉義補助功臣)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領議政府使) 영경연사(領經筵事) 상당부원군에 추증(追贈)되고 승의랑(承儀郞) 사헌부감찰을 지냈고 부 휘명회(明澮)는 지금 수충위사협책정난동덕좌익공신(輸忠衛社協策靖難同德佐翼功臣) 보국숭록대부 상당부원군이 되어 판병조사(判兵曹事)를 겸임하였으니 공훈이 현저하게 한 집안에 모여서 정성(鼎盛)하였다. 모(母)는 여강민씨(驪江閔氏)이니 고려의 대유(大儒)로서 문하시중을 지내고 문인공(文仁公)이라 시호한 휘민지(閔漬)의 5대손인 가정대부 한성부윤(漢城府尹)의 봉조청(奉朝請=문무당상관이 고령으로 퇴임 시 관직을 그대로 퇴임하는 것) 민대생(閔大生)의 딸이다. 안팎에서 문벌이 번성하기가 우리 동방에서 으뜸이었는데 대대로 그 아름다운 덕을 이어받아 여경(餘慶)을 쌓아서 정통(正統=명 6대 英宗의 연호) 10년 乙丑(세종27년=1445) 정월 16일 庚寅에 빈(嬪)을 낳았다. 嬪은 나면서 정숙하고 상냥하였으며 부드럽고 아름다워 오로지 법도가 있었으므로 드디어 간택을 받아서 왕세자빈으로 책봉되었다. 천순(天順=명 英宗의 복위 후 연호) 4년(세조6년=1460)여름 4월 甲子에 친영(親迎)하여 혼례를 이루었다. 이때부터 공경하고 경계하여 어그러짐이 없었으며 부도(婦道)를 지키는데 오로지 조심하였다. 양궁(兩宮)을 받들어 정성과 효도를 다하여 능히 숙옹(肅雍=공경하고 화합함)의 아름다움을 이루었다. 이듬해에 임신하여 11월 丁酉(1일)에 갑자기 병에 걸리니 양궁께서 진려(軫慮)하여 친히 납시어 병을 보살폈고 의약과 기도에 극진하였다. 드디어 병이 위중하여 낫지 아니하다가 30일이 지난 丙寅(11.30.)에 원손을 낳으시니 양궁께서 크게 기뻐하여 경내(境內)의 죄인을 사유(赦宥)하고 백관의 자급(資級)을 내려 주는 등 온 나라가 기뻐하였다. 12월 辛未(5일)에 병이 위독하여 마침내 세상을 떠나니 향년 17세였다. 양궁께서 애도하시고 만백성이 모두 슬퍼하였다. 아아 슬프다! 시호를 장순(章順)이라 내리고 다음해 2월 25일 庚寅에 파주의 보시동(普施洞) 언덕에 안장하니 예(禮)대로 한 것이다. 빈은 고아(高雅)한 성품에 조용하여 말이 없었고 세자의 배필이 되어 원손을 낳는 등 방가(邦家)를 돈독하게 공경하더니 어찌 하루아침에 이 지경에 이르렀단 말인가. 아아! 하늘이 천부(天賦)의 덕을 주고서도 그 목숨에는 인색하므로 하늘을 믿을 수 없으니 이루 애통함을 이기지 못하겠다. 그 명에 이르기를

猗歟勳閥趾美積德迺生淑媛迺配

貳極思媚兩宮克修嬪則不吊于天

仙馭何迫脩短有數天耶叵測元孫

克岐厥聲堭喤委祉于後萬世無彊

훈벌이 성하여 빛나는 업적으로 미덕을 쌓아

아름다운 재원(才媛)을 낳아 세자의 배필이 되었네

양궁(兩宮=윗전)의 뜻을 받들고 능히 세자빈의 법도를 닦았네

하늘이 돌보지 않으심인가. 승하하심이 어찌 이다지도 급박함인가.

명의 길고 짧음이 운수에 있다하지만

하늘의 뜻은 헤아릴 길이 없어라

원손이 능히 태어나 그 울음소리 우렁차니

후세에 복록을 내림이 만세에 끝이 없겠네

 

睿宗大王妃 安順王后(예종대왕비 안순왕후)  top

 

安順王后 封王妃冊文

王大妃上尊號冊文

 

안순왕후(1445~1498)는 예종대왕(睿宗大王)의 계비(繼妃)로 우의정을 지낸 청천부원군(淸川府院君) 백륜(白倫)의 따님으로 세종 27년 乙丑(1445) 3월 12일에 탄생하였다. 王后는 세자빈으로 책봉되어 가례를 올린 것이 아니라 동궁에 간택되어 들어가 소훈(昭訓)의 내명부 직품을 받고 세자를 섬기다가 세조14년戊子(1468)에 예종이 즉위하자 왕비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이듬해 예종1년 己丑(1469) 11월 28일에 예종이 급환(急患)으로 20세에 승하하니 왕후는 25세로 청상(靑孀)이 되었다. 조카인 성종이 즉위하여 인혜대왕비(仁惠大王妃)로 존호를 받고 뒤에 다시 소휘제숙(昭徽齊淑)의 휘호를 가상 받았다. 연산군4년 戊午(1498) 12월 23일에 54세로 승하하였다. 이에 안순(安順)의 시호(諡號)를 올리고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서오릉에 있는 창릉(昌陵)에 예종과 함께 안장되었다. 신위(神位)는 종묘의 영녕전(永寧殿) 서협(西夾) 제9실(第九室)에 배향되어 있다. 소생은 1男 1녀로 예종의 차남인 제안대군(齊安大君) 현(琄)과 현숙공주(顯肅公主)이다.


安順王后 封王妃冊文   cybernation_back.gif top


坤承乾於下以成覆載之功后正位于內以基風化之源其道一也咨爾韓氏名門淑媛宜家令德予在春宮妙選來嬪儆戒相成維德之行贊我三韓承歡兩宮載誕元良以篤我邦家之慶逮予嗣位雖己封妃未遑授冊之禮非所以視母儀於一國也今遣云云授寶冊寶玉以尊名位於戱惟克敬可以承宗廟之重惟積德可以致本支之隆思嗣徽音益勸陰敎曁予一人共享無疆之福


안순왕후 봉왕비책문(封王妃冊文)


  땅이 아래에서 하늘을 받들어 이로써 천지의 공을 이루고 후비(后妃)가 안에서 지위를 바르게 함으로 풍화(風化)의 근원을 바탕으로 하는 것은 그 도리가 한 가지도다. 이르건대 그대 韓氏는 명문가의 숙원(淑媛)으로 태어나 집안의 마땅한 덕을 곱게 가꾸어 내가 춘궁(春宮)에 있을 때 묘선(妙選)을 받아서 빈(嬪)이 되었도다. 들어와서는 나를 경계하고 서로 이룩하며 오직 덕이 있는 행의로써 우리의 삼한(三韓)을 돕고 양궁(兩宮=세조대왕 내외)을 기꺼이 받들더니 원량(元良)을 탄생하여 이로써 우리 방가(邦家)의 경사를 두텁게 하였다. 내가 보위를 이음에 이르러 비록 이미 왕비로 봉하였으나 책보를 내리는 예를 행할 겨를이 없었으니 이는 국모의 위의(威儀)로써 일국에 군림하게 함에 마땅한 바가 아닌지라 이번에 모모(某某)를 보내서 보책(寶冊)과 보옥(寶玉)을 수여하고 이로서 그 이름과 지위를 높이는 도다. 어희(於戱)라. 오로지 능히 공경하고 가히 그로써 종묘의 중함을 받들 것이며 오로지 덕을 쌓아 그로써 가히 본손과 지손이 융성하고 번창하게 하여 휘음(徽音)을 이어갈 일을 생각하여 더욱 음교(陰敎)에 힘써서 오(吾) 일인(一人)과 더불어 무강(無疆)한 복록을 함께 누릴 지어다.

 

安順王后 王大妃上尊號冊文 成宗 辛卯 正月 辛卯日   cybernation_back.gif top


恭以爲之後爲之子當盡愛敬之心有其德有其名盍擧尊崇之典載揚懿範恭獻徽稱恭惟性稟溫柔躬行慈儉聿修內政道己隆於母儀用贊先王功實侔於坤載上以奉承於長樂下以顧於眇躬聊伸歸美之辭式表慾報之懇臣娎不勝大願謹奉冊寶上尊號曰仁惠王大妃伏惟俯循輿望誕受鴻儀益膺萬福之臻永享一國之養


안순왕후 왕대비상존호책문(安順王后 王大妃上尊號冊文)

 

  우러러 생각하건대 후사(後嗣)가 되고 자식이 되어서는 마땅히 사랑과 공경의 마음을 다해야 하거니와 거기에 덕이 있고 명망이 있으니 어찌 존숭하는 의전을 거행하여 이에 의범(懿範)을 드날리고  공경히 빛나는 칭예(稱譽)를 올려 드리지 아니하오리까. 우러러 생각하건대 성품은 온유하시고 자비로움과 검소하심으로 몸소 행하시어 내정을 닦으셨으니 국모의 도와 의범은 이미 융성해 졌습니다. 이로써 선왕(先王=예종)을 도우시어 공이 실로 大地와 짝하시면서 위로는 장락궁(長樂宮=태후의 궁전 곧 세조비 정희왕후)을 받들어 모시고 아래로는 묘궁(眇宮=성종)을 거두고 보살펴 주셨으니 오로지 아름다움을 알리는 말씀을 올려 이로써 보답코자 하는 간절한 정성을 표하고자 합니다. 이에 신 혈(娎=성종대왕 어휘)은  큰 소원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책보(冊寶)를 받들어 존호를 올려 가로되 인혜왕대비(仁惠大王妃)라 하옵니다. 엎드려 바라옵건대 온 누리의 여망에 굽어 응하사 크나큰 의전을 받으시고 더욱 만복과 나라의 봉양을 누리소서.

공혜왕후(恭惠王后)  top

恭惠王后 諡冊文

恭惠王后 順陵誌

공혜왕후 순릉지

恭惠王后 哀冊文

공혜왕후 애책문


공혜왕후(1456~1474)는 성종대왕(成宗大王)의 원비(元妃)이다, 공혜왕후 청주한씨는 영의정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의 넷째 딸이고 예종비 장순왕후의 동생이다. 왕후는 세조2년 丙子(1456) 10월 11일에 출생하여 세조13년 丁亥(1467)에 12세로 한살 아래인 잘산군(乽山君) 혈(娎)과 가례를 올렸는데 2년 후인 1469년 11월 30일 예종의 뒤를 이어 잘산군(乽山君)이 즉위하자 왕비로 책봉되었다. 그 후 성종5년 甲午(1474) 4월 15일에 소생 없이 세상을 떠나니 향년 19세였다. 공혜(恭惠)의 시호를 올리고 다시 연산군4년 戊午(1498)에 휘의신숙(徽懿愼肅)의 휘호가 추상되었다. 신위는 종묘의 정전(正殿) 제5실(第五室)에 배향되어 있으며 능소는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리에 있는 순릉(順陵)에 왕후 홀로 안장되었다.



恭惠王后 諡冊文  成宗5年 甲午 5月 20日     cybernation_back.gif top


履中體順旣隆贊內之功定諡易名宜崇顯後之禮粤稽古典用加徽稱咨爾大行王妃韓氏端一誠莊幽閑貞靜名門毓秀早凝偃月之姿潛邸來嬪夙著俔天之德洎紹大統遂陟中闈基王化於二南正母儀於一國憂勤在念警戒相成庶協燕禖之祥式衍螽斯之慶昊天不吊大運難逃永失好逑孰進鷄鳴之戒每懷良佐曷勝鑑亡之悲載擧縟儀誕揚懿範是用遣領議政申叔舟奉冊贈諡恭惠英靈不昧寶命是承思媚思齊揚鴻號之煥赫俾昌俾熾扶景祚於久長


恭惠王后 諡冊文(공혜왕후 시책문)

중정(中正)을 지켜 밟아 나가고 승순(承順)의 덕을 본받아 안에서 도운 공이 이미 융성하였으니 시호를 정하여 이름을 바꾸는 예를 마땅히 행하여 후세에 드러내야 할 것이므로 이에 옛날의 전장(典章)을 계고(稽考)하여 이로써 아름다운 칭호를 더하는 바이다. 아! 그대 대행왕비(大行王妃) 韓氏는 명문에서 탄육(誕毓)한 단아(端雅)하고 성실하고 아름다우며 그윽하고 넉넉함과 곧고 고요함을 두루 갖춘 빼어난 규수로써 일찍이 언월(偃月=임금의 배필이 될 골상)의 자태를 이루어 과인의 잠저(潛邸)에 들어와 빈(嬪)이 되어 이미 현천(俔天=주나라 문왕의 비 太姒)의 덕을 드러내더니 과인이 대통을 잇기에 이르러서는 마침내 중궁의 위에 올라 왕화(王化)를 이남(二南=시경의 周南과 召南, 두편을 말함)에 기틀 잡게 하고 국모의 의표를 한 나라에 바르게 하였도다. 조심하고 부지런할 것을 염두에 두고 경계하고 깨우쳐 성취하는 것을 도왔으며, 이제 바라건대 소생을 얻은 상서로움이 거기에 더하여 이로써 자손을 번연(蕃衍)케 하는 경사가 협화 되기를 기대하였건만 저 맑은 하늘이 돕지 아니하니 크나큰 운수는 도피하기가 어려운지라 내 좋은 반려를 영구히 잃기에 이르렀으니 이제 누가 닭의 울음(鷄鳴)처럼 나를 깨워 경계하여 준단 말인가. 매양 좋은 보좌를 생각함에 어찌 내 거울을 잃은 슬픔을 이기리오. 이에 의례를 갖추어 아름다운 모범을 크게 드날리고자 영의정 신숙주로 하여금 책문을 받들고 가서 공혜(恭惠)라 시호를 드리게 하노니 영령이 어둡지 아니 하거든  이 보명(寶命)을 가히 받들어 어여쁘고 또한 가지런하게 이 큰 칭호를 환혁(煥赫)히 드날리어 이로 하여금 번창하고 치성(熾盛)케 함으로서 밝은 상서를 붙들어 오래오래 이을지어다.

 

恭惠王后 順陵誌       cybernation_back.gif top

 

공혜왕후 순릉지       cybernation_back.gif top

 

왕후 한씨는 서원(西原=청주)의 대계(大系)이다. 원조(遠祖) 한란은 고려조에 책훈(策勳)되어 저명하였고 황증조(皇曾祖) 한상질은 자헌대부(資憲大夫) 도평의사사사예문춘추관태학사(都評議使司事藝文春秋館太學士)의 벼슬에 이르고 문열(文烈)로 증시(贈諡)되었으며 황조(皇祖) 한기는 순충적덕병의보조공신(純忠積德秉義補祚功臣) 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으로 추증(追贈)되었다. 이가 예문응교(藝文應敎) 이적(李逖)의 딸에게 장가들어 지금의 수충위사협책정난동덕좌익보사병기정난익재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輸忠衛社協策靖難同德佐翼保社炳幾定難翊載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겸영경연춘추관사병조판서(兼領經筵春秋館事兵曹判書)인 한명회(韓明澮)를 낳았고 한명회가 지금 여흥부부인(驪興府夫人)으로 봉작된 민씨(閔氏) 곧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민대생(閔大生)의 딸에게 장가들어 경태(景泰=명나라 景宗의 연호)7년(1456) 10월 11일 丁未에 연화방(蓮花坊)에 있는 사제(私第)에서 왕후를 낳았다. 왕후는 나면서 총예(聰睿)가 남달랐으며 성장해서는 온화하고 온의(溫懿)하며 숙경(肅敬)하셨다. 성화(成化=명 憲宗의  연호)3년(1467)에 세조께서 우리 주상전하를 잘산군(乽山君)으로 봉(封)하고 배필을 가리실 때에 뜻에 맞을만한 사람으로 왕후께서 덕용(德容)을 지녔음을 알고 불러 보고서 혼인을 정하시어 그해 정월 12일에 예를 갖추어 그 집에서 친영(親迎)할 때 영응대군(永膺大君) 염(琰)에게 혼사를 주관하게 하여 예를 이루었다. 왕후께서 들어와 뵈매 언동이 예에 맞으므로 세조와 대왕대비께서 애중(愛重)하셨다. 그때 왕후께서는 나이가 어렸으나 노성(老成)한 사람처럼 엄전하셨으며 늘 가까이 모시되 경근(敬謹)하기가 갈수록 지극하시니 이 때문에 권우(眷遇)가 날로 더해갔다. 상께서 천조(踐祚=즉위)하시어 왕비로 책봉되셔서는 더욱 스스로 경외(敬畏)하여 3전(三殿=정희왕후 윤씨, 소혜왕후 한씨, 안순왕후 한씨)을 극진한 효도로 받들어 매양 진기한 것을 구하여 반듯이 맛있는 것을 갖추어서 올리되 오래되어도 게을리 하지 않으셨으며 후궁을 대접함에 있어서는 너그럽고 대범하여 중도(中道)에 맞으셨으며 양로(養老), 세원(歲元=정초)같은 내전(內殿)의 예연(禮燕)의 의도(儀度)에도 모두 규구(規矩)에 맞으셨으므로 궁중이 다 바라보고 찬복(贊服)하였다. 서사(書史)에 뜻을 두고 여전(女傳)같은 것을 읽는 일을 일과로 삼으셨다. 왕후께서는 장차 빈어(嬪御=후궁)를 뽑을 것이라는 말을 들으면 의복을 극히 정려(精麗)하게 장만해 두었다가 들어오기를 기다려서 내리시고 그 뒤로는 복식(服飾), 패완(佩玩=노리개)을 끊임없이 내려주고 은혜로 대우하여 조금도 싫어하는 기색이 없으셨다. 癸巳년(1473) 7월에 왕후께서 병환으로 한명회의 집으로 옮겨 거처하시니 상께서 하루걸러 거동하여 애써 약을 드시도록 권하시었다. 병이 나아 궁으로 돌아오셨으나 12월에 병환이 다시 도지시니 왕후께서 증세가 낫기 어려움을 여러 번 아뢰고 하루아침에 불숙(不淑=불행)이 오게 될까 참으로 염려하여 별전(別殿)에 나가려고 원하는 뜻이 간절하시므로 甲午년(1474) 3월에 구현전(求賢殿)으로 옮겨 거처하도록 명하고 상과 삼전(三殿)께서 날마다 거동하여 보살피시고 종묘, 사직과 뭇 사(祠)에 기도하고 또 대사(大赦)를 내렸다. 상께서 한명회에게 명하여 부인과 함께 때때로 들어와 병환을 돌보게 하였는데 왕후께서 훙서(薨逝)하기에 임박하여 한명회와 부인이 여러 날 먹지 않는 것을 보고 명하여 밥을 먹게 하고 더불어 결별(訣別)하여 이르기를 “죽고 사는 데에는 천명이 있으니 영영 3전을 여의고 끝내 효도를 다하지 못하여 부모에게 근심을 끼치는 것을 한탄할 뿐입니다.”하시고 드디어 훙서하시니 이날이 4월 15일이었다. 전하께서 양좌(良佐)를 잃었음을 애통하시고 3전께서도 슬퍼 목메시어 며칠 동안 음식을 폐하셨고 궁액(宮掖)의 시어(侍御)와 중외의 모든 신료가 누구나 다 호곡(號哭)하였다. 상께서 뭇 신하에게 명하여 시호(諡號)를 의론하게 하여 시호를 내려 공혜(恭惠)라 하였고 6월 7일 파주 공릉(恭陵)의 동쪽 을산묘좌(乙山卯坐) 유향(酉向)언덕에 장례를 모시고 이름하여 순릉(順陵)이라 하였다. 왕후께서는 덕성(德性)의 아름다움을 천부(天賦)로 받으셨으므로 내치를 잘 주관하여 궁위(宮闈)가 엄숙하고 화목하였으며 위로 자극(慈極=대비)을 받들면 삼전께서 서로 기뻐하셨으며 지존(至尊)을 내찬(內贊)하면 일국이 교화에 승순하였다. 예전부터 어진 후비(后妃)를 만나기 어려운데 천명에 부누가 있어 수명을 오래 누리지 못하시니 신민으로서 슬퍼하고 유감으로 여기지 않는 사람이 없다. 라고 하였다.

 

恭惠王后 哀冊文       cybernation_back.gif top  

 

 

 

공혜왕후 애책문     cybernation_back.gif top

 

유세차(維歲次) 成宗 5年(1474) 4월 15일에 대행왕비께서 구현전(求賢殿)에서 훙(薨)하시어 다음 6월 초7일 순릉(順陵)에 모셨으니 이는 예에 맞는 것이옵니다. 신위(蜃衛)가 밤새 베풀어졌다가  새벽에 예로(鷖輅=왕후를 태우는 수레)가 출발하기에 이르니 명정(銘旌)은 슬픈 바람에 아리답고 단아하게 흔들리고 보삽(黼翣=상여와 기치)은 흰 달빛을 구비 구비 비끼며 드높이 급요(岌嶢)한 쌍궐(雙闕=대전과 곤전)을 등지고 그윽히 유울(幽欝)한 중천(重泉)으로 향하였습니다. 주상전하께서는 어진 보좌(補佐)에서 일찍 세상을 떠난 것을 비통해 하시고 유명(幽明)이 다르게  영구히 가로 막힌 것을 애도하시어 이에 사신(詞臣)에게 명하여 책(冊)을 지어 드러나게 하시니 그 말씀은 다음과 같사옵니다.  천지가 어울려 조화를 이루매 만물이 모두 형통하고 음양이 번갈아  운행하매 세공(歲功)을 이루었듯이 왕후의 덕이 어진 데에서 왕화(王化)가 비롯되었나니 하(夏)나라는 도산(塗山=우왕의 비)에서 열렸고 주(周)나라는 위사(渭涘)에서 일어난 것이 그러한 것이었도다. 하늘이 성조(聖朝)를 도우시사 세세에 숙덕(淑德)이 있으니 저 넓은 청주에는 韓氏가 오직 큰 가문인데 대를 이어 미덕을 이루어 이에  석원(碩媛)이 나시었도다. 잠저(潛邸)에 들어와 빈이 되어 오직 덕으로 행하여 내조가 매우 많아 대명(大命)이 돌아감이 있었고 중궁에 올라서는 능히 호의(壺儀)를 정제하였도다. 황제께서 아름다운 일이라 이르시며 총광(寵光)을 내리니 고명(誥命)이 이에 빛나고 곤룡포에 문채가 빛났도다. 아랫사람에게는 어짊이 미치고 의복을 빨아 입어 검박함을 밝혔으며 밤낮으로 재계하고 밝게 하여 공경히 종묘를 섬김에 사사롭게 편안함을 나타내려 하지 않았고 그 예절을 쫓아 더욱 경건히 하였도다. 덕이 두터워 땅을 실을만하고 도는 빛나서 하늘을 이을만하여 왕화(王化)를 이남(二南=시경의 周南과 召南)보다 더 융성하게 하고 모의(母儀)를 온 나라에 나타내어 장수를 누리고 다복(多福)할 줄 알았는데 이에 영위(榮衛=血氣)가 잠깐 어그러져 필경에는 대점(大漸)이 다가와 홀연히 황기(皇祇=神)는 자리를 잃고 이어 월어(月御)가 빛을 감추었도다. 오호라, 슬프도다. 아픔은 3궁에 사무치고 슬픔은 구중(九重)까지 얽혔으니 6궁(六宮=왕비에게 딸린 여섯 궁전)의 울음소리는 우뢰를 이루고 군신들의 눈물은 비가 되었도다. 아름다운 의범(儀範)을 우러나 어디로 갔는지 영모(嬰慕)하나 따르지 못함을 슬퍼하노라. 아아, 슬프도다. 어헌(魚軒=왕비가 타는 수레)은 이제 멍에 메지 못하게 되고 상복(象服)은 헛되이 설하여 있도다. 장렴(粧奩)에는 향기가 사라져 가려하고 형패(珩珮)에는 이미 소리가 끊겼는데 인산(因山)의 날짜가 정하여 졌으니 비창하도다. 유역(帷帟=室內)이 엄연히 그대로 있으니 대행(大行)한 것 같지 않건만 소만(簫挽)이 합하여 울리니 목이 메도다. 자욱한 눈시울이 냇가 수목을 가림으로 슬픔이 더하고 비운(悲雲)이 들을 덮으니 형색(形色)이 참담(慘憺)하도다. 아아, 슬프도다. 가성(佳城=산소)은 길지에 점쳐서 잡고 조역(兆域=묘역)은 신명을 따라 점쳤으니, 아아, 대수(大隧)가 한 번 닫히면 깊은 밤에 새벽은 오지 않을 것이다. 아아, 슬프도다. 천지가 있음으로부터 시작과 끝이 없는 사람이 누구이겠는가. 어진 사람일지라도 반드시 장수하지 못하고 성인도 죽지 않는 이가 없도다. 오직 현천(俔天)에 비길 만한 지극한 덕과, 해와 짝할 만한 아름다운 빛이 길이 백세토록 사라지지 않고 사책(史冊)에 씌여 꽃다운 이름이 유전(流傳)될 것이로다. 슬프고 또 슬프도다.

 

 

인열왕후(仁烈王后)  top

 

仁烈王后 諡冊文

인열왕후 시책문

仁烈王后 哀冊文

인열왕후 애책문

仁烈王后陵誌

인열왕후 장릉지

 

인조대왕비 인열왕후 유사

인열왕후(1594~1635) 淸州韓氏는 인조대왕비이니 호조판서로 선조로부터 영창대군의 보필을 부탁 받은 유교칠신(遺敎七臣)의 한사람인 준겸(浚謙)의 따님이다. 국구(國舅)인 한준겸은 광해군5년(1613)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전리방귀(田里放歸) 되었다가 유배(流配)되었으며 후일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에 봉군되고 영의정(領議政)에 추증(追贈)되었으며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인열왕후 청주한씨는 선조 27년(1594) 7월 1일에 출생하여 광해군2년(1610) 17세에 능양군(綾陽君)이던 仁祖와 혼인하여 청성현부인(淸城縣夫人)으로 봉(封)해지고 광해군15년(1623) 능양군이 반정을 일으켜 왕으로 즉위하자 왕비로 책봉(冊封)되었다. 그러나 정묘호란 등으로 내외의 어려움을 겪다가 인조13년(1635) 12월 9일에 향년 42세로 승하하였다. 뒤에 인열(仁烈)의 시호가 올려지고 또 정유(正裕)의 휘호가 더해 졌으며 효종2년(1651) 명덕정순(明德貞順)의 휘호가 추상되었다. 신위(神位)는 종묘의 정전 제8실에 배향(配享)되어 있고 능(陵)은 장릉(長陵)으로 처음 파주 운천리에 장사지냈으나 1731년(영조7)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로 이장하였고 인조와 합장되어 있다. 소생은 4남을 두니 장남은 소현세자이고 차남은 효종대왕이며, 3남은 인평대군, 4남은 용성대군이다.

 

仁烈王后 諡冊文   cybernation_back.gif top

 

王若曰失一良佐方切悼亡之情稽諸舊章式擧彰德之典實循輿論豈是(豈是一本作敢容)私言惟大行王妃資本仁明性惟淵靜沙麓應運誕降積善之門渭水定祥載詠纘女之命夙資塗山之助久同商野之勞逮昏暴之斁倫爲宗社而起義化家爲國勳用集於一戒從中贊猷才實難於十亂正位號於坤極風化攸基奉色養於東朝誠禮無間凡厥內治之道一惟古訓是師節儉躬行如在潛邸之日謙冲自牧寧有戚畹之私遭時多艱益存履氷之懼輔予不逮恒切覆舟之規旣見壺政之穆宣允爲國人之觀感夭保單厚多男可比於螽斯仁化純深公姓宜歌於麟趾謂無疆之壽何圖不淑之悲柘棺遘灾奄驚六衣之卷椒塗弛衛遂從諸后之游倬容音之長違懷德範而莫及丹霄寂寞詎箴諫之復聞彤管輝煌將令譽之永久靈辰不往己迫卽遠之期庶民何依均深如喪之痛惟是春秋窀穸之事宜有所以易名矧玆幽閑貞靜之儀自允協(自允協一本作可無歉)於節惠縟禮將薦況慟何窮令遣臣議政府領議政尹昉奉玉冊贈諡曰仁烈尙冀淑靈聿膺顯號作配神后流福澤(福澤一本作景烈)於萬年垂裕後昆綿本支於百世嗚呼哀哉 

 

漢城府判尹 臣 趙翼 撰

 

인조대왕비 인열왕후 시책문  cybernation_back.gif top

 

국왕이 말하노라. 한 사람 좋은 보좌를 잃으니 바야흐로 죽음을 슬퍼하는 정이 절실하여  옛날의 여러 전장(典章)을 상고하고 이로써 그 덕을 빛내는 의전을 거행하고자 실제 여론에 두루 쫓는 바이니 이것이 어찌 사사로운 정에서 나온 말씀이리오. 오로지 생각하건대 대행(大行)한 왕비는 바탕이 원래 인명(仁明)하고, 성품은 오직 사려 깊고 고요하였던바 사록(沙麓=제곡의 妃가 태어난 곳)의 운수가 응감하여 덕을 쌓은 가문에서 탄강(誕降)하였도다. 위수(渭水=문왕이 妃 태사를 맞은 곳)에서 상서를 정하니 찬녀(纘女=태사)의천명을 찬양하는 노래가 퍼지고 일찍이 도산씨(塗山氏=하국 우왕의 비)의 내조로써 도우니 오래도록 상야(商野=인조의 잠저시절을 칭함)에서의 노고를 함께 하였도다. 혼미하고 난폭한 군주가 이륜(彛倫)을 깨트리고 막는 때에 종사를 위해 의리를 일으켜 집안을 변하여 나라를 만들기에 이르러서는 한 차례 큰 병장기의 싸움에서 함께 돕는 공훈을 세웠고, 그 계책을 밀찬(密贊)한 재주는 실로 주 무왕의 열 사람 현신보다 어려운 일을 해내고 곤극(坤極=중전)에 그 위호를 바루어서는 풍속과 교화가 그 기틀을 잡게 되었도다. 대비를 섬김에는 그 안색을 살펴서 받드니 정성과 예법에 차이가 없고 무릇 그 내치(內治)의 도리는 하나 같이 옛사람의 가르침으로써 스승을 삼았으며 절약과 검소한 생활을 몸소 실천하는 것은 잠저(潛邸)에 있던 날과 같았도다. 겸손과 중연(仲淵)히 침착한 마음으로 스스로 거느리니 어찌 척원(戚畹=친정)과의 사사로움인들 있었으리요. 때가 더욱 어려운 간난을 만나서는 얇은 얼음을 밟는 두려움을 지니면서 나를 보필하되 늘 못 미치는 것 같이 하였고 항상  복주지규(覆舟之規)로써 일깨우는 바가 절실하였도다. 그리하여 이미 호정(壺政=궐내를 다스리는 일)이 화목하게 이루어짐이 나타나니 능히 모든 사람들의 우러름을 받고 하늘의 보우가 크고도 두터워 자식을 많이 두는 것은 종사(螽斯=메뚜기 떼와 같은 자손의 번성을 말함)에 비교되고 인화(人和)는 순수하고도 심원하여 종친은 마땅히 인지(麟趾)를 노래하기에 이르렀도다. 무강한 장수를 일컬음에 있어 어찌 불숙(不淑)한 슬픔이 있을 것을 뜻하였으리요. 자관(柘棺)의 재앙을 만나니 문득 육의(六衣왕비의 예복)를 말아 넣는 것에 놀라고 초도(椒塗)에 시위(侍衛)가 느슨해지니 드디어 여러 선후(先后)들의 진유(眞游)를 좇음이로다. 용모와 음성이 길이 어긋나 떠났음을 슬퍼하나니 그 덕과 의범을 회상하되 미칠 길이 없으며 궁궐의 밤이 적막하니 누가 잠간(箴諫)으로써 내게 다시 들려 줄 것인가. 동관(彤管)이 휘황하니 장차 고운 영예가 영구히 드러날지어다. 영진(靈辰=장례일)은 머물지 아니하니 이미 영원으로 나아갈 기약이 박두 하였도다. 서민은 어찌 의지할지를 몰라 모두 한결같이 친상을 당한 듯 애통하는 도다. 오로지 이에 춘추(春秋)의 장례 지내던 고사에 따라 마땅히 이름을 바꾸는 바가 있어야겠거늘 하물며 지금 이같이 유한(幽閑)하고 정정(貞靜)한 의범으로 스스로 능히 은혜로운 절목을 받아 합당함에 있어서랴. 갖춘 예식을 이제 올리자니 이 침통함을 어찌 다 말할 수 있으리오. 지금 의정부 영의정 윤방(尹昉)을 보내 옥책(玉冊)을 받들고 시호를 증(贈)하게 하여 가로되 인열(仁烈)이라 하노니 바라건대 맑은 영혼은 이 현호(顯號)를 받아 들여 신후(神后)와 짝을 이루면서 복택을 만년토록 유전(流傳)시켜 내려주고 후손에게 경유(慶裕)를 드리워 주어 본손과 지손이 백세토록 번창하게 할 지어다.  슬프고 애통하도다.

한성부판윤 신 조익(趙翼) 지음

仁祖大王妃 仁烈王后 哀冊文   cybernation_back.gif top

인열왕후 애책문  cybernation_back.gif top

 

유세차(維歲次) 숭정(嵩禎)8년乙亥(1635) 12월 9일에 대행(大行)왕비께서 창경궁의 산관(産館)에서 승하하시매 아무 전각에 빈소(殯所)를 모셨다가 이듬해로 넘겨 모월 모일에 장릉(長陵)으로 천좌(遷座)하여 모시니 이는 예이옵니다. 

궁정에 차린 조연(祖筵)이 거두어지니 빈전(嬪殿)의 장막은 텅 비워지고 삼궁(三宮)에서 뇌성과 같은 곡성이 진동하매 백령(百靈)이 용을 쫓는 구름과 같이 따르고 눈물을 자아내는 바람이 쏘아대매 만가(挽歌)의 흐느낌이 애달프옵니다. 새벽이슬의 울음에 명정(銘旌)이 젖는데 궁거(宮車)는 더위잡을 길이 없고 저승길을 따라 미칠 길이 없사옵니다. 주상전하께옵서는 갑옷을 들어 보시고는 그 공덕을 생각하시고, 옛 궁검(弓劍)을 보시고는 정회(情懷)에 얽히시면서 닭이 울음소리로 새벽을 일깨우는 것 같이 규간(規諫)하시던 내조의 추감(追感)에 사로잡히시어 적불(翟茀)을 어루만지시며 상통(傷痛)을 더하시더니 아름다운 장전(章典)을 상고하여 훌륭하신 성망을 드날려 드리라 하시니 받들어 지어 올리는 말씀은 다음과 같사옵니다.

저 울창한 서원(西原=청주)에 사록(沙麓)이 오랜 상서를 저장하여 성녀(聖女)를 독생(篤生)하니 동방의 국모가 되셨습니다. 안온하신 문체로 예철(睿哲)의 배필이 되시어 공순하고 자혜로움으로 도와서 이루시며 아름다움을 이어 빛이 거듭 나게 하시니 해와 짝을 이루어 밝으셨습니다. 선조대왕의 말년에는 애석하게도 연좌(連座=한준겸이 정여립의 사위 이진길을 천거한 일로 투옥됨)되어 탄식하시더니 이후로는 다시 신손(영창대군)을 도우라는 명을 받고(遺敎七臣이 된 것) 또한 석원(碩媛)을 구하시는 은사(恩思)를 입던 터에 오직 우리 왕후께서 예를 갖추어 탄강하셔서 이에 간택을 받으시니 훌륭히  세선(世選)을 이루시었습니다.

잠저(潛邸)로 빈(嬪)이 되어 들어오시니 이야말로 좋은 짝을 이루셨는데 옥과 같은 체도(體度)에 연충(淵冲)히 사려 깊으시고 맑고 신중하신 몸가짐에 꽃다운 계책을 지니었습니다. 화목하고 조용히 익히신 내칙(內則)으로 윗분을 공경하고 삼가며 어버이의 장악(長樂)을 기쁨으로 받드니 칭예가 두드러져 햇빛처럼 밝았습니다.

나라가 부운(否運)을 만나 매운 화란이 궁궐 안 왕족에게 미치니 윤리와 기강이 희미하게 꺼지고 천지는 어둠에 싸였으며 종묘와 사직은 풍전등화같이 위태롭고 힘없는 백성들은 도탄에 허덕였습니다. 천제(天帝)가 마음을 고쳐 도모하여 큰 덕망을 지닌 이가 간택을 받으니 그 영걸스런 계모(計謀)를 안에서 도와 주 무왕의 열 사람 현신의 하나가 되매 육룡(六龍=어가)에 때를 맞춰 오르심이고 황상(黃裳)에 오르사 크게 길함을 비롯하시게 되었습니다. 전성(前星=세자)은 환연히 빛나고 인지(麟趾=왕자군)가 떠올라 노래를 부르니 왕가와 나라가 서로 편안하고 크고 작은 것이 함께 화합을 이루었습니다.

중궁의 지극히 높은 지위에서 존영(尊榮)을 누리심이 13년에 이르도록 관저(關雎)의 화락이 넘치니 이는 전고에 짝할 바가 없는 일이었는데 어쩌다 하루 저녁에 재앙의 기운이 문득 이르러 영대(靈臺)가 요얼한 기운을 고하고 태사(太史=古代 天時를 맡은 관원)가 재앙을 기록하기에 이르렀으리이까?. 동궁의 서당에 나아가시면 여러 아들들에게 경사를 빌어 베푸셨건만 순간에 햇빛 같은 복록이 재앙에 걸리시매 하루사이에 명이 없어지심을 애통해 하옵니다. 궁안의 금중은 다시 회복이 안 되는데 신선의 수레는 급거히 오르시옵니다. 어찌 인사가 불량한 것이오니까, 아니면 하늘의 역수(歷數)를 고치기가 어려운 것이옵니까. 오호라 애통하옵니다.

아침의 풀잎에서는 이슬이 마르더니 주차(舟車)는 움직여 밤의 골짜기로 들어가옵니다. 용순(龍輴=상여)에 한번 멍에가 메어지니 영구히 적막한 수원(壽原)에 이르시옵니다. 물은 슬픔을 머금은 채 골짜기에서 나오고 산은 처참함을 띠고 봉우리를 연이었습니다. 솔바람은 보배로우신 비파를 울리는 것만 같고 참등(參燈)이 없어 어두우니 은 등잔의 불빛도 없사옵니다. 평생의 기거하심과 다르니 전날의 목소리와 용모도 아니 계시옵니다. 오호라 애통하옵니다.

상단(桑壇=궁중의 뽕밭)에는 초목이 시들어 죽었고 견관(繭館=궁중의 蠶室)에는 먼지가 쌓였습니다. 입으시던 옥의는 헛되이 설해져 있고 쓰시던 금옥의 집 문은 누가 열게 되오리까. 겨우 섣달의 납설(臘雪)이 희끗 희끗하게 덮일 때 돌아가셨는데 어느덧 초봄의 매우(梅雨)가 자욱하게 내립니다. 차라리 월전(月殿)에서 조금씩 관망하심으로 족하실 것을 어찌 요지(瑤池)에 바짝 가서 노닐고자 하십니까. 흰 구름을 바라봄이여 이미 아득히 멀어지셨고 동관(彤管)의 글줄에 머무는 것은 남은 슬픔 이옵니다. 오호라 애통하옵니다.

주구(珠丘)는 능히 훌륭하고 백성(栢城=묘역)은 두루 아름답습니다. 현구(玄龜)가 맞추어 복지(卜地)를 하였으니 금낭(錦囊)도 그 기량이 달려 기릴 수가 없겠사옵니다. 하늘이 아껴 두고 땅이 감춘 것을 발견했으니 봉황이 분분히 춤추며 날고 용이 서린 형국입니다. 이 천혜의 땅에 장렴(粧奩)을 갈무리하심에 형패(珩珮)가 언덕 산에 가려졌습니다. 안개서린 산색의 봉우리들이 열 지어 시중 하듯 늘어 있나니 넉넉한 산신에게 의탁하여 금안(金安)을 누리소서. 오호라 애통 하옵니다.

차고(充) 비는(空) 것과 사라짐과 삶은 하늘의 큰 경영인지라 흐르는 냇물은 그침이 없고 가는 날짜는 멎지 아니하옵니다. 아아, 인생이 모두 이 안에 속해 있음이여. 누구의 수명이 저 뫼 언덕과 같이 장구하오리까. 오로지 덕음(德音)은 어두워지지 않음이여. 이 난장(蘭藏=묘소를 칭함)과 한가지로 더욱 꽃 다우소서. 감히 애달픔을 기술하면서 먼 후일을 내다봄이여, 만년을 그렇게 드리워 다함이 없으소서. 오호라, 애통하옵니다.


사헌부 대사헌 신 김상헌(金尙憲) 지음(撰)

 

仁烈王后 長陵誌  cybernation_back.gif top

 

인열왕후 장릉지  cybernation_back.gif top

오로지 생각하건대 韓氏는 덕을 쌓은 서원에서 계출하였는데 병령(炳靈)이 거듭 사록(沙麓)의 상서를 발하여 대개 일컫기를 우리 동방의 지신(摯莘)이라 한다. 그 선조에 휘 란이라는 분이 있어 고려 태조를 도와 3한을 평정하고 관직이 태위로서 삼중대광에 이르고 이로부터 고관이 연이어 5대에 이르도록 재집(宰執)의 지위를 이어 내려왔다. 조선조에 들어와서는 휘 상경이 있어 개국공신에 책훈되고 서원부원군에 봉해졌으며 관직이 영의정에 이르렀는데 다시 2대를 내려와 문정공 계희가 의정부좌찬성에 서평군으로 봉해지니 왕후에게 6대조가 된다.

고조부는 휘가 승원으로 정선군수를 지내고 좌찬성으로 추증되었으며 증조부 휘 여필은 중추부경력으로 증 영의정이며 조부 휘 효윤은 경성부판관으로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선고 휘 준겸은 실로 출장입상(出將入相)의 덕업이 있어 여덟 품계의 관직을 두루 거치고 5도도원수(五道都元帥)에 이르렀는데 국구(國舅)에 대한 은례(恩例)로서 서평부원군으로 진작(進爵)되고 영돈령부사가 되었다. 배위는 회산부부인(檜山府夫人) 황씨로 창원 본관의큰 씨족인 예조좌랑 증 참판 휘 성(珹)의 딸인데 선조27년(1594) 7월 丁丑일에 왕후를 탄생하였다.

왕후는 태어나면서 다른 바탕을 지녀 망령된 유희를 아니하고 말하는 모습이나 움직임과 그침이 예사아이들과 거리가 멀었으며 출생 월여 만에 모부인 황씨가 하세하니 자라면서부터 서평군을 섬김에 조석문후를 반드시 여러 오라비와 자매보다 앞서서 하였다. 선조39년(1606) 왕후는 13세였는데 마침 처자(處子)를 간선(簡選)하는 일이 있게 되자 선조대왕께서 그 현숙함을 아시고 우리 전하에게 맞을 것을 명하시었다. 그리하여 납폐(納幣)를 이미 행하였으나 이때 선조께서 척방(陟方=왕의 죽음)하셨으므로 3년 국상 후 庚戌(1610) 9월에 친영을 행하고 청성현부인(淸城縣夫人)으로 봉해졌다. 처음 왕후가 집에 있을 때 한번은 밤에 자다가 홀연히 가위에 눌린 것같이 되어 놀라 소리치니 서평군이 나아가 진정시키고 물은즉 왕후의 꿈 이야기에 집의 지붕이 갈라져 열리고 해와 달이 하늘에서 내려와 품속으로 들어와 놀라 소리쳤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 무렵 친영에 응해야 할 터인데 창진(瘡疹)이 심하여 매우 우려스러웠는데 서평군이 꿈을 꾸니 선조대왕께서 말씀하시기를 “근심하지 말라. 질환이 저절로 낳으리라.” 하시더니 과연 그같이 되니 서평군이 더욱 기이하게 생각하였다. 이때 원종대왕이 정원군(定遠君)으로 잠저에 계실 때인데 왕후가 들어가 높이 받들어 모시되 은의가 사친보다 더하게 하였다. 능창군(綾昌君=인조의 아우, 반란에 연루되었다는 무고로 유배 사형됨)의 화가 일어나자 내외의 이권을 노려 요행수를 바라는 무리가 떼를 타고 색구(索賕)에 혈안이 되어 그 욕구에 한이 없으니 왕후는 혼수로 가져온 것을 모두 던져 이에 응하되 진귀한 괴보(瑰寶)에 이르기까지 조금도 아까와 하는바가 없이 내어주니 원종께서 가상히 여겼다.

癸亥(1623)의 반정하는 거사에는 밀모(密謀)에 참예하여 은밀히 도운 것이 크고도 많았는데 상께서 이미 대위에 오르시자 왕후도 곧 바로 책봉되는 예를 받았고 乙丑(1625)에는 천자도 중귀인(中貴人=내관) 왕민정(王敏政)과 호양보(胡良輔)를 보내 우리 전하를 책봉하고 아울러 왕후에게도 고명과 관복(冠服)을 보내왔다. 왕후가 이미 장추궁(長秋宮)에 정위하여 일국의 모의(母儀)로서 밀물(密勿)하며 음교를 편 것이 13년이었는데 乙亥(1635) 겨울에 남아를 탄생하시어 그 아들을 잃게 됨에 왕후께서 심히 상도(傷悼)하여 발열작질(發熱作疾)하사 마침내 위독하여 이해 12월 9일 창경궁의 여휘당(麗暉堂)에서 훙서(薨逝)하시니 춘추(春秋)가 42세였다.

유사(有司)가 시법(諡法)에 따라 의론하여, 인덕을 베풀고 의리에 복종하였다하여 가로대 인(仁)이라 하고, 공이 있고 백성을 안심시켰다하여 열(烈)이라 일컬어 드디어 존시(尊諡)를 올려 인열(仁烈)이라 하고 이듬해 4월 乙酉일에 장릉(長陵)에 장사하니 능은 파주 북쪽 10리 허에 있는 갑좌인향(甲坐寅向=문산읍 운천리)의 언덕이다.

왕후는 자성(姿性)이 유순하고 정정(貞靜)하며 어질고 효성스러운 덕은 하늘로부터 받은 것이었다. 인목대비의 성품이 엄하였는데 왕후가 공경과 효성으로 섬기고 곁에 오래 두고 쓰는 것들에 이르기까지 모두 극진한 예절과 뜻을 다하여 받드니 양궁간의 자애와 효성에 시종 간격이 없게 되었다. 그리하여 대비가 승하하자 애모(哀慕)로서 예를 다하였다. 성상을 섬김에는 공경과 순종으로 일관하고 상께서 혹시 불예(不豫)하면 앉은 채로 날이 밝을 때까지 기다리고 일에 따라서 능히 잠규(箴規)를 다하여 도운 것이 많았다.

상께서 한번은 복주도(覆舟圖)를 보고 계시자 왕후께서 진언하여 가로대, “원컨대 상께서는 이를 보시면서 위태로움과 두려운 것을 생각하시되 그저 헛된 완구로 삼지 마시옵소서.” 하였다. 상께서 간혹 원유(苑囿)를 수치(修治)하고자 하는데 왕후가 그때마다 기뻐하지 않으니 그만 상께서 공역을 그만두게 하신 것이 여러 차례였다. 상께서 또한 언관을 특별히 체직시키려하자 왕후가 간하기를, “그 말이 비록 맞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 일이 간관(諫官)의 명분인데 이를 조처하심에 있어 공의를 따르지 않으신다면 전하의 덕에 누가 되고 언로를 방해하게 될까 두렵습니다.” 라고 하였다.

내외의 분수에는 더욱 엄격하여 조정의 정사와 밖의 일에 대하여는 더불어 듣고자하지 않았으며 일찍이 친가를 위해 은택을 희구한 적이 없는데 친속이 혹시 여러 차례 관직임명의 의망(擬望=후보에 오르는 것)에 올라 낙점을 받지 못해도 한마디 말이 없고 관직을 얻은 자가 있어도 이를 알지 못하니 상께서도 또한 어떤 사람인지 살펴 아실 수가 없었다. 궁위(宮闈)안이 정숙하고 화목한 가운데 정제(整齊)되게 하고 움직임과 용모와 말씀을 내는 것이 저절로 의칙(儀則)에 맞았으며 단아한 뜻으로 청렴하고 검약하여 화려한 수식을 좋아하지 않았으며 축재하고 갈무리는 것 또한 좋아하지 않았다.

여러 아들들을 자애하심이 지극하였으나 가르침에는 반드시 옳고 방정하였으며 친척을 두루 진휼(賑恤)하되 항상 안을 먼저하고 밖을 다음하였다. 아랫사람에게 너그럽고 공평하였으며 엄격하되 은혜로움이 있었다. 숙의(淑儀) 장씨(張氏)가 들어오매 은혜롭게 내려 베푸는 것이 우흡(優洽)하였으며 이같이 아래에까지 미치는 인덕에 모든 사람이 열복(悅服)하였다. 추위와 더위가 심하면 궁궐을 숙위(宿衛)하는 병사의 신고(辛苦)를 진념(軫念)하여 때때로 음식을 하사하시었다. 이에 승하하시던 날에는 비록 궁벽한 여염의 부녀자에 이르기까지 달려 나와 호곡하고 애모(哀慕)하였다.

왕후는 세 아들을 탄육하였는데 왕세자는 세적(世適)으로 저이(儲貳=소현세자)로 계시고 다음은 봉림대군 호(淏)이고 다음은 인평대군 요(㴭)이다. 왕세자는 대사헌 강석기의 딸을 맞이하였고 봉림대군은 신풍군 장유의 딸을 맞이하여 1녀를 낳았는데 아직 어리다. 인평대군은 교리 오단의 딸을 맞이하였다.

신(臣)이 보건대 옛적에 제왕이 일어남에는 반드시 후비(后妃)의 현철함이 있어서 내치를 돕고 보살폈던 고로 10란(十亂=주 무왕의 治亂의 신하, 문왕의 어머니가 포함됨)의 열에 부인이 들어있는 것이다. 공손히 생각하건대 우리 전하께서 하늘의 명을 받들어 종묘사직을 존안(尊安)시킴에 왕후께서 하늘이 짝해주신 배필로서 홍업(鴻業)을 긴밀히 돕고 문채를 머금으신 배덕(配德)으로 곤극(坤極)의 지위를 순승(順承)하셨으니 장차 효도하고 공경하는 가르침과 자애롭고 어진 풍화가 훈증(熏蒸)되고 창달하여 관저(關雎)의 협화가 이루어지고 인지(麟趾)의 바람이 일어남으로서 우리 동방의 태평하고 가없는 아름다움이 이루어짐을 보 것이었는데 뫼 언덕과 같이 높은 수한을 내리는 것을 하늘이 끝내 아끼고 말았으니 오호라 애통하도다.

신(臣) 장유(張維=지은이)는 공경히 교지를 받들어 그 덕망과 행실을 차례로 엮어 현궁(玄宮)의 돌에 새겨 길이 보여 끝이 없게 하는 바이다.

 

대제학 신 장유(張維) 지음(撰)

   top    cybernation_back.gif